사담 후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담 후세인(1937~2006)은 이라크의 제5대 대통령으로,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장기간 집권하며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그는 1950년대 바트당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1968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한 후, 1979년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집권 후 반대파 숙청, 공포 정치, 탄압을 통해 독재 체제를 강화했다.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과 쿠웨이트 침공(1990)으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1991년 걸프 전쟁에서 패배한 후 유엔 제재를 받았다. 2003년 이라크 전쟁으로 정권이 붕괴되었고, 2006년 반인륜 범죄 혐의로 사형당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이라크의 현대화와 경제 발전을 이루었지만, 억압적인 정치와 잦은 전쟁으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와 불안정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의 인도에 반한 죄 기결수 - 알리 하산 알마지드
알리 하산 알마지드는 사담 후세인의 측근으로, 알-안팔 작전 지휘, 쿠웨이트 점령군 사령관, 시아파 봉기 진압 등 과정에서 대량 학살과 폭력을 자행하여 "화학 알리"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고, 사형 선고 후 교수형에 처해졌다. - 이라크의 전쟁범죄 기결수 - 알리 하산 알마지드
알리 하산 알마지드는 사담 후세인의 측근으로, 알-안팔 작전 지휘, 쿠웨이트 점령군 사령관, 시아파 봉기 진압 등 과정에서 대량 학살과 폭력을 자행하여 "화학 알리"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고, 사형 선고 후 교수형에 처해졌다.
사담 후세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사담 후세인 압둘 마지드 알 티크리티 |
원어명 | صدام حسين عبد المجيد التكريتي |
로마자 표기 | Saddam Hussein Abd al-Majid al-Tikriti |
출생일 | 1937년 4월 28일 |
출생지 | 알아우자, 살라딘 주, 이라크 왕국 |
사망일 | 2006년 12월 30일 |
사망지 | 캠프 저스티스, 카디미야, 바그다드, 이라크 |
사망 원인 | 사담 후세인의 교수형 집행 |
안장 장소 | 알아우자, 살라딘 주, 이라크 |
별칭 | (없음) |
정치 경력 | |
직위 | 이라크 대통령 (1979년–2003년) 이라크 총리 (1979년–1991년, 1994년–2003년) 이라크 부통령 (1968년–1979년) 혁명 지도 위원회 의장 (1979년–2003년) 이라크 바트당 지역 사무총장 (1964년–1966년, 1979년–2006년) 이라크 바트당 사무총장 (1992년–2006년) |
정치 | |
정치 체제 | 바트당 (1957년–1966년), 이라크 기반 바트당 (1966년–2006년) |
소속 정당 | 바트당 |
부통령 | 타하 무히에딘 마루프 (1974년–2003년) 이자트 이브라힘 알두리 (1979년–2003년) 타하 야신 라마단 (1991년–2003년) |
총리 | 본인 (1979년–1991년) 사둔 함마디 (1991년) 모하메드 함자 주베이디 (1991년–1993년) 아흐마드 후세인 후다이르 아스-사마라이 (1993년–1994년) 본인 (1994년–2003년)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사지다 탈파 (1958년 결혼) 사미라 샤반다르 (1986년 결혼) |
자녀 | 우다이 후세인 쿠사이 후세인 라가드 후세인 라나 후세인 할라 |
군사 정보 | |
소속 | 이라크군 |
계급 | 원수 |
참전 전투 | 제2차 이라크-쿠르드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쿠웨이트 침공 걸프 전쟁 1991년 이라크 봉기 2003년 이라크 침공 (사형 집행) |
형사 유죄 판결 | |
범죄 | 두자일 학살 중 인도에 반한 죄 |
재판 | 사담 후세인 재판 |
현상금 | 2500만 달러 |
형벌 | 사형 (교수형) |
상태 | 사담 후세인의 교수형 집행 |
2. 생애
사담 후세인은 1937년 4월 28일 살라주 티크리트 부근 알 아우자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323] 그의 이름은 아랍어로 "적을 크게 무찌르는 자"를 뜻한다.[323] 알-부 나시르 부족 출신이며, 후일 대통령이 된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와는 사촌간이었다. 아버지 후세인 압둘 마지드(알 마지드라고도 함)는 사담이 태어났을 때에는 이미 죽었고, 어머니 수브하 탈파는 목동인 이브라힘 하산과 재혼하여 3명의 이부제(異父弟)를 낳았다. 생부와 어머니는 사촌 간이며, 재혼한 하산 역시 그녀와 사촌 간이었다.[15][10] 그의 아버지 후세인은 알-베자트 씨족의 알-마지드 분파 출신이었고, 어머니 수바는 알-부 나시르 부족의 부족장이자 이라크의 오스만 제국 지배에 반대했던 무살라트 빈 오마르 알-나시리의 손녀였다.[11] 알-부 나시르 부족의 대다수는 티크리트에서 베두인 생활을 했으며, 사담의 아버지 후세인 알-마지드 또한 베두인 목동이었다.[12][16] 사담이라는 이름은 "굳건히 서 있는 투사"라는 뜻이다.[17] 그의 아버지는 사담이 태어나기 전에 사망했다. 이로 인해 사담의 어머니 수바는 깊은 우울감에 빠져 낙태를 시도하고 자살을 기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녀는 유대인 가족에 의해 구조되었다.[18][19]
초등학생 시절부터 총을 휴대하고 다녔으며(당시 티크리트 지역에서는 총을 소지하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행실이 불량하여 학교에서 퇴학시키려던 교장을 협박하여 퇴학 처분을 취소시킨 적도 있다. 1947년 외삼촌과 그의 아들 아드난 하이랄라와 함께 티크리트로 나가 외삼촌이 교사로 있는 티크리트 중학교를 졸업했다. 10세 때부터 외숙부 카이랄라 탈파 아래에서 살았다.[24] 8세 때 하이랄라의 딸로 외사촌인 사지다 하이랄라와 약혼하였다. 사담의 적에 굴하지 않는 성격과 민족주의적 범아랍주의 사상(와타니야)은 외숙부의 영향이라고 한다. CIA가 작성한 심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의붓아버지 이브라힘 알-하산은 사담을 정기적으로, 때로는 잠에서 깨우기 위해 때렸다고 한다.[21][22] 사담의 장인이 될 탈파는 독실한 수니파 이슬람 무슬림이었고, 이라크 민족주의자들과 당시 지역의 주요 식민지배국이었던 영국 사이의 1941년 영-이라크 전쟁 참전 용사였다.[23]
1955년 18세 때에 중앙정부의 교육장관이 된 하이랄라와 함께 바그다드로 올라와, 2년 뒤인 1957년 바트당에 입당했다. 1950년대의 아랍 제국(諸國)에서는 아랍 민족주의가 고조되어, 사담도 이집트의 지도자인 가말 압델 나세르에 영향을 받았다.
중등 교육 후, 사담은 이라크 법과대학에서 3년 동안 공부했지만, 20세였던 1957년 삼촌이 지지했던 혁명적인 팬 아랍 바트당에 합류하기 위해 중퇴했다. 이 기간 동안 사담은 중학교 교사로 생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25] 바스당 이념은 시리아에서 시작되었고 당시 시리아에는 바트당 지지자가 많았지만, 1955년 이라크에는 바트당 당원이 300명도 채 되지 않았다.
1957년 바트당에 입당했다.
혁명적 정서는 이라크와 중동 전역의 당시 시대적 특징이었다. 이라크에서는 진보주의들과 사회주의자들이 전통적인 정치 엘리트(식민지 시대 관료와 지주, 부유한 상인과 부족장, 군주제 지지자들)를 공격했다.[26] 게다가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의 팬 아랍 민족주의는 사담과 같은 젊은 바스당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58년, 사담이 바트당에 가입한 지 1년 후, 압드 알 카림 카심 장군이 이끄는 군 장교들이 이라크의 파이살 2세를 7월 14일 혁명에서 전복시켰다.
1959년 압둘 카림 카심 총리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다리에 총상을 입었지만, 베두인으로 변장하여 티그리스강을 헤엄쳐 시리아로 도피했고, 이후 이집트로 망명했다. 시리아 체류 중에는 바트당의 창시자 미셸 아플라크의 총애를 받았다. 망명 중 궐석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고, 이집트에서 카이로 대학교 법학부에서 수학했다.[39][40]
1963년 압둘 살람 아리프 장군이 이끈 라마단 혁명 쿠데타로 카심 정권이 붕괴되자 귀국해 바트당의 농민국장이 되었다. 이 해에 사지다와 정식으로 결혼하였다. 그러나 바트당 정권은 당 내 좌우 양파의 권력투쟁 때문에 정권을 잃게 된다. (1963년 11월 이라크 쿠데타)
1964년 아리프 대통령의 암살을 계획했지만 사전에 발각되어 체포, 투옥당했다가 1966년 탈옥해 지하활동을 벌였다. 1968년 7·17 혁명으로 바트당은 다시 정권을 잡았고, 이 쿠데타에서 사담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크르 정권에서는 입각은 하지 않았지만, 치안기관에 종사해 바크르 대통령의 권력 강화에 협력하였다. 그 결과, 1969년에 혁명 지도 평의회(RCC)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사담은 이라크 바트당을 시리아 바트당의 영향력으로부터 갈라 놓는 공작을 시작해 범아랍주의를 주창하면서도, 숙부 하이랄라가 주창한 「이라크 민족주의」를 국가의 새로운 이데올로기로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사상에 대해 그는 「이라크 인민은 문명의 발상지인 고대 메소포타미아 백성의 자손이다」라고 말하였다.[324]
거기에 그는 새로운 치안·정보기관을 설치해, 그 장(長)에 측근이나 친족을 임명하고, 치안 기관을 스스로의 지배하에 두어 이라크를 경찰 국가로 변모시켰다. 비밀경찰이나 치안군에 의한 국민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었다. 또, 정부의 고위직에는 대부분 동향인 티크리트나 그 주변지역 출신자를 등용하였다. 정부 부처와 이라크 군 내부에도 바트당원으로 구성된 정치 위원을 배치하여 동향을 보고받았다. 그 때문에, 혜택을 받지 못한 다른 지역 사람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쌓여갔다.
1973년 6월에 시아파인 나짐 카자르 내무치안장관이 바크르와 사담의 암살을 계획하지만 사전에 비밀이 유출되어 실패하였고, 관련자 전원이 사형에 처해졌다. 이때 사건과 관련 없는 인물, 특히 이라크 국민들로부터 높은 인망을 얻고 차기 대통령으로 불리던 아브둘 하릭 사마라이 같은 바트당 내 사담 후세인의 라이벌들도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숙청되었다.
1979년 대통령 취임.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 발발.
1990년 쿠웨이트를 점령.
1991년 걸프 전쟁에서 패배.
1993년 토탈에너지스(Elf Aquitaine)와 계약.
2003년 이라크 전쟁 발발.
2003년 - 아들 우다이와 쿠사이가 미군과의 총격전에서 사망.
2003년 8월 - 미국이 현상금을 걸다.
2003년 12월 14일 - 사담 후세인 체포.
2005년 10월 19일 - 특별법정에서 첫 공판이 열림.
2006년11월 5일 - 이라크 고등법정에서 반인도 범죄로 사형 선고.
2006년 12월 26일 - 같은 법정에서 1심 사형 판결이 항소심에서 확정됨.
2006년 12월 30일 - 사담 후세인 사형 집행.
2. 1. 생애 초반
사담 후세인은 1937년 4월 28일 살라주 티크리트 근교의 작은 마을인 알 아우자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후세인 압둘 마지드(알 마지드라고도 함)는 사담이 태어났을 때에는 이미 죽었고, 어머니 수브하 탈파는 목동인 이브라힘 하산과 재혼하여 3명의 이부제(異父弟)를 낳았다. 생부와 어머니는 사촌 간이며, 재혼한 하산 역시 그녀와 사촌 간이었다.[15][10] 그의 아버지 후세인은 알-베자트 씨족의 알-마지드 분파 출신이었고, 어머니 수바는 알-부 나시르 부족의 부족장이자 이라크의 오스만 제국 지배에 반대했던 무살라트 빈 오마르 알-나시리의 손녀였다.[11] 알-부 나시르 부족의 대다수는 티크리트에서 베두인 생활을 했으며, 사담의 아버지 후세인 알-마지드 또한 베두인 목동이었다.[12][16] 사담이라는 이름은 "굳건히 서 있는 투사"라는 뜻이다.[17] 그의 아버지는 사담이 태어나기 전에 사망했다. 이로 인해 사담의 어머니 수바는 깊은 우울감에 빠져 낙태를 시도하고 자살을 기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녀는 유대인 가족에 의해 구조되었다.[18][19]10세 때부터 외숙부 카이랄라 탈파 아래에서 살았다.[24] 8세 때 하이랄라의 딸로 외사촌인 사지다 하이랄라와 약혼하였다. 사담의 적에 굴하지 않는 성격과 민족주의적 범아랍주의 사상(와타니야)은 외숙부의 영향이라고 한다. CIA가 작성한 심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의붓아버지 이브라힘 알-하산은 사담을 정기적으로, 때로는 잠에서 깨우기 위해 때렸다고 한다.[21][22] 사담의 장인이 될 탈파는 독실한 수니파 이슬람 무슬림이었고, 이라크 민족주의자들과 당시 지역의 주요 식민지배국이었던 영국 사이의 1941년 영-이라크 전쟁 참전 용사였다.[23]
1955년 18세 때에 중앙정부의 교육장관이 된 하이랄라와 함께 바그다드로 올라와, 2년 뒤 바트당에 입당한다. 1950년대의 아랍 제국(諸國)에서는 아랍 민족주의가 고조되어, 사담도 이집트의 지도자인 가말 압델 나세르에 영향을 받았다.
중등 교육 후, 사담은 이라크 법과대학에서 3년 동안 공부했지만, 20세였던 1957년 삼촌이 지지했던 혁명적인 팬 아랍 바스당에 합류하기 위해 중퇴했다. 이 기간 동안 사담은 중학교 교사로 생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25] 바스당 이념은 시리아에서 시작되었고 당시 시리아에는 바스당 지지자가 많았지만, 1955년 이라크에는 바스당 당원이 300명도 채 되지 않았다.
혁명적 정서는 이라크와 중동 전역의 당시 시대적 특징이었다. 이라크에서는 진보주의들과 사회주의자들이 전통적인 정치 엘리트(식민지 시대 관료와 지주, 부유한 상인과 부족장, 군주제 지지자들)를 공격했다.[26] 게다가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의 팬 아랍 민족주의는 사담과 같은 젊은 바스당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58년, 사담이 바스당에 가입한 지 1년 후, 압드 알 카림 카심 장군이 이끄는 군 장교들이 이라크의 파이살 2세를 7월 14일 혁명에서 전복시켰다.
이라크 북부 티크리트 인근 알아우자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인 사담은 아랍어로 "적을 크게 무찌르는 자"[323]를 뜻한다. 알부나시르 부족 출신이며, 후일 대통령이 된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와는 사촌간이었다. 초등학생 시절부터 총을 휴대하고 다녔으며(당시 티크리트 지역에서는 총을 소지하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행실이 불량하여 학교에서 퇴학시키려던 교장을 협박하여 퇴학 처분을 취소시킨 적도 있다. 1947년 외삼촌과 그의 아들 아드난 하이랄라와 함께 티크리트로 나가 외삼촌이 교사로 있는 티크리트 중학교를 졸업했다.
2. 1. 1. 유년기
사담 후세인은 1937년 살라주 티그리트 부근 알 아우자 마을 농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후세인 압둘 마지드(알 마지드라고도 함)는 사담이 태어났을 때에는 이미 죽었고, 어머니 수브하 탈파는 목동인 이브라힘 하산과 재혼하여 3명의 이부제(異父弟)를 낳았다. 생부와 어머니는 사촌 간이며, 재혼한 하산 역시 그녀와 사촌 간이었다.[15][10] 그의 아버지 후세인은 알-베자트 씨족의 알-마지드(Al-Majid) 분파 출신이었고, 어머니 수바는 알-부 나시르 부족의 부족장이자 이라크의 오스만 제국 지배에 반대했던 무살라트 빈 오마르 알-나시리의 손녀였다.[11]10세 때부터 외숙부 카이랄라 탈파 아래에서 살았다.[24] 8세 때 하이랄라의 딸로 외사촌인 사지다 하이랄라와 약혼하였다. 사담의 적에 굴하지 않는 성격과 민족주의적 범아랍주의 사상(와타니야)은 외숙부의 영향이라고 한다. CIA가 작성한 심리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의붓아버지 이브라힘 알-하산은 사담을 정기적으로, 때로는 잠에서 깨우기 위해 때렸다고 한다.[21][22]
1955년 18세 때에 중앙정부의 교육장관이 된 하이랄라와 함께 바그다드로 올라와, 2년 뒤 바트당에 입당한다. 1950년대의 아랍 제국(諸國)에서는 아랍 민족주의가 고조되어, 사담도 이집트의 지도자인 가말 압델 나세르에 영향을 받았다.
사담 후세인 알-마지드 알-티크리티는 1937년 4월 28일 티크리트 근교의 작은 마을인 알 아우자에서 태어났다. 두 사람 모두 후세인 이븐 알리의 후손인 사이이드 아흐메드 나시르딘 빈 후세인으로부터 계승된 알-부 나시르 부족의 알-베자트 씨족 출신이었다. 알-부 나시르 부족의 대다수는 티크리트에서 베두인 생활을 했으며, 사담의 아버지 후세인 알-마지드 또한 베두인 목동이었다.[12][16] 사담이라는 이름은 "굳건히 서 있는 투사"라는 뜻이다.[17] 그의 아버지는 사담이 태어나기 전에 사망했다. 이로 인해 사담의 어머니 수바는 깊은 우울감에 빠져 낙태를 시도하고 자살을 기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녀는 유대인 가족에 의해 구조되었다.[18][19]
사담의 장인이 될 탈파는 독실한 수니파 이슬람 무슬림이었고, 이라크 민족주의자들과 당시 지역의 주요 식민지배국이었던 영국 사이의 1941년 영-이라크 전쟁 참전 용사였다.[23]
중등 교육 후, 사담은 이라크 법과대학에서 3년 동안 공부했지만, 20세였던 1957년 삼촌이 지지했던 혁명적인 팬 아랍 바스당에 합류하기 위해 중퇴했다. 이 기간 동안 사담은 중학교 교사로 생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25] 바스당 이념은 시리아에서 시작되었고 당시 시리아에는 바스당 지지자가 많았지만, 1955년 이라크에는 바스당 당원이 300명도 채 되지 않았다.
혁명적 정서는 이라크와 중동 전역의 당시 시대적 특징이었다. 이라크에서는 진보주의들과 사회주의자들이 전통적인 정치 엘리트(식민지 시대 관료와 지주, 부유한 상인과 부족장, 군주제 지지자들)를 공격했다.[26] 게다가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의 팬 아랍 민족주의는 사담과 같은 젊은 바스당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58년, 사담이 바스당에 가입한 지 1년 후, 압드 알 카림 카심 장군이 이끄는 군 장교들이 이라크의 파이살 2세를 7월 14일 혁명에서 전복시켰다.
이라크 북부 티크리트 인근 알아우자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인 사담은 아랍어로 "적을 크게 무찌르는 자"[323]를 뜻한다. 알부나시르 부족 출신이며, 후일 대통령이 된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와는 사촌간이었다. 초등학생 시절부터 총을 휴대하고 다녔으며(당시 티크리트 지역에서는 총을 소지하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행실이 불량하여 학교에서 퇴학시키려던 교장을 협박하여 퇴학 처분을 취소시킨 적도 있다. 1947년 외삼촌과 그의 아들 아드난 하이랄라와 함께 티크리트로 나가 외삼촌이 교사로 있는 티크리트 중학교를 졸업했다.
2. 1. 2. 학생 운동
1958년 이라크에서는 군부에 의해 7·14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 누리 알사이드의 친영(親英) 왕정이 축출당하고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파이살 2세를 살해하고 정권을 잡은 아브드 알 카림 카심이 아랍 민족주의에 회의적이었기 때문에 바트당은 1959년에 카심 수상 암살미수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에 실행범으로서 관여한 사담은 카심의 경호원으로부터 총격을 받아 다리를 다치지만, 면도칼로 다리에 박힌 총알을 파낸 뒤, 체포를 피하기 위해 유목민으로 변장해 티그리스강을 헤엄쳐 시리아에 망명하고, 후에 이집트로 피했다.[24]사담은 20세였던 1957년 삼촌이 지지했던 혁명적인 팬 아랍 바스당에 합류하기 위해 법과대학을 중퇴했다. 이 기간 동안 사담은 중학교 교사로 생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25] 당시 이라크에는 바스당 당원이 300명도 채 되지 않았다. 사담이 바스당에 가입한 주된 이유는 삼촌을 통해 아흐메드 하산 알-바크르와 다른 바스당 지도자들과의 가족적 연관성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4]
혁명적 정서는 이라크와 중동 전역의 당시 시대적 특징이었다. 이라크에서는 진보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이 전통적인 정치 엘리트를 공격했다.[26] 게다가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의 팬 아랍 민족주의는 사담과 같은 젊은 바스당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27]
2. 2. 정치 활동
바트당은 원래 압둘 카림 카심 내각에 참여했으나, 카심은 나세르가 새로이 결성한 이집트와 시리아의 연합에 참여하는 것을 꺼렸다. 그는 이라크 내 여러 집단(특히 사회민주주의자와 이라크 공산당)의 주장에 동조하여 그러한 행동은 위험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대신 카심은 "이라크 제일"이라는 ''와타니야(wataniyah)'' 정책을 채택했다.[28][29] 정부 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카심은 아랍 민족주의 개념에 반대하는 이라크 공산당과 동맹을 맺었다. 그의 정책은 바트당을 포함한 여러 아랍 민족주의 단체들의 분노를 샀고, 바트당은 나중에 1959년 10월 7일 알라시드 거리에서 카심 암살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사담은 암살 음모에 가담할 것을 가담자 중 한 명이 빠진 후, 음모의 배후자인 압둘 카림 알-셰이크리에 의해 모집되었다. 매복 중 사담은 (단지 지원 사격만 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예상보다 빨리 사격을 시작하여 작전 전체를 혼란에 빠뜨렸다. 카심의 운전기사가 사망했고 카심은 팔과 어깨에 부상을 입었다. 암살자들은 카심을 죽였다고 생각하고 신속하게 본거지로 후퇴했지만, 카심은 살아남았다.[29] 사담은 암살팀에 늦게 합류했기 때문에 이라크 외부에서 훈련을 받았다고 여겨지지 않는다.[30]
리처드 세일은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UPI)에서 전 미국 외교관이자 정보 당국자인 아델 다르위시와 다른 전문가들을 인용하여 카심에 대한 암살 시도가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이집트 정보 기관의 공동 작업이었다고 보도했다.[31] 이라크 내 CIA 작전과 관련된 당시의 관련 기록은 기밀로 분류되거나 대부분 삭제되어 "그럴듯한 부인 가능성"을 허용했다.[32] 이집트가 어떤 형태로든 암살 시도에 관여했고, "[미국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나세르와 협력하고 있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33] 세일과 다르위시의 주장은 역사가 브라이언 R. 기브슨에 의해 논란이 되었는데, 그는 공개된 미국의 문서가 "미국이 카심에 대한 여러 음모를 알고 있었지만 여전히 비간섭 정책을 고수했다"는 결론을 내렸다.[34] 반면 역사가 케네스 오스굿은 "미국과 아랍연합공화국이 바트당 활동가들과 협력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쓰며, "[세일의] 주장의 타당성이 무엇이든, 적어도 현재 공개된 문서는 미국 당국자들이 카심에 대한 여러 음모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CIA가 이라크에서 비밀 작전을 위한 자산을 구축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결론짓고 있다.[33]
공격 당시 바트당의 당원 수는 1,000명 미만이었다. 그러나 실패한 암살 시도는 이전까지 무명에 가까웠던 사담과 바트당을 이라크 전역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이라크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사담의 대중적 이미지에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33][35] 카난 마키야는 다음과 같이 회고한다.
이 사건에서 인물과 신화가 융합된다. 그의 전기 – 그리고 이 이야기를 지겹도록 방영하는 이라크 텔레비전 – 는 그가 열 살 때부터 총에 익숙했던 것, 1959년 작전 중 그의 용기와 당에 대한 충성심, 총을 겨누어 차를 빼앗아 동지들을 구한 용감함, 은신처에서 그의 지시로 몸에서 꺼낸 총알, 심각하게 부상당한 팀원을 병원에 데려다 주려던 약한 동료들에게 총을 겨누었던 철의 규율, 경찰이 들이닥치기 직전에 자신을 구할 수 있었던 계산적인 기민함, 그리고 부상당한 채 집에서 집으로, 도시에서 도시로, 사막을 가로질러 시리아로 피신하는 긴 여정을 보여준다.[36]
바트당 운동의 지도자 미셸 아플락은 당이 카심 암살을 시도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푸아드 알-리카비와 같은 이라크 바트당 주요 당원들의 축출을 조직했다. 동시에 아플락은 사담을 포함한 그의 지지자들을 이라크 바트당 지도부에 배치했다.[37]
사담을 포함한 암살자들은 모두 결국 카이로 이집트로 탈출하여 "카심이 권력을 유지하는 동안 나세르의 보호를 받았다."[38] 사담은 처음 시리아로 탈출했다가 1960년 2월 이집트로 갔고, 1963년까지 그곳에 살면서 1961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카이로 법과대학(1962-1963)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39][40] 사담이 망명 중 카이로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방문했을 가능성이 있으며,[41] 일부 증거는 그가 "미국 관리들과 정보 요원들과 빈번하게 접촉했다"는 것을 시사한다.[33] 고위 미국 관리 출신의 한 인물은 마리온 파룩-슬루글렛과 피터 슬루글렛 역사가들에게 사담을 포함한 이라크 바트당원들이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미국 당국과 접촉했다"고 말했다.[42]
바트당과 연계된 군 장교들이 1963년 2월 라마단 혁명 쿠데타를 통해 카심을 전복하고 살해했는데, 오랫동안 CIA의 지원을 받았을 것이라고 의심받았다.[43][44] 그러나 이라크 내 CIA 작전과 관련된 당시의 관련 문서는 미국 정부에 의해 기밀로 분류되어 있다.[45][46] 하지만 바트당원들이 쿠데타 전후에 미국 관리들과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것은 기록으로 남아 있다.[47][48] 바트당 지도자들이 내각에 임명되었고 압둘 살람 아리프가 대통령이 되었다. 아리프는 같은 해 1963년 11월 이라크 쿠데타에서 바트당 지도자들을 해임하고 체포했다. 당시 이집트에 망명 중이었던 사담은 1963년 쿠데타나 그 후에 일어난 잔혹한 반공 숙청에 어떤 역할도 하지 않았지만, 쿠데타 후 이라크로 돌아와 귀국 후 바트당 민간 부문의 주요 조직자가 되었다.[49] 카심 시대와 달리 사담은 1963년 11월 아리프의 반바트당 숙청 이후에도 이라크에 남아 아리프 암살을 계획하는 데 관여했다. 카심과는 대조적으로 사담은 아리프 정부로부터 사형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시리아로 다시 도망치는 대신 체포될 위험을 감수했다. 사담은 1964년 10월 체포되어 약 2년간 투옥 생활을 하다가 1966년 탈출했다.[50] 1966년 아흐메드 하산 알바크르는 그를 지역 사령부 부서기로 임명했다. 뛰어난 조직자로 입증된 사담은 당을 활성화시켰다.[51]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바트당 사상의 창시자인 미셸 아플락의 도움으로 지역 사령부에 선출되었다.[52] 1966년 9월 사담은 같은 해 초 시리아 바트당의 마르크스주의 장악에 대한 대응으로 시리아의 바트당 지배에 대한 특별한 도전을 시작하여 당이 두 개의 분리된 세력으로 공식적으로 분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53] 그런 다음 사담은 그가 단독으로 통제하는 바트당 보안 기관을 만들었다.[54]
1968년 7월, 사담은 아흐메드 하산 알 바크르가 이끈 무혈 쿠데타에 참여하여 압둘 라흐만 아리프[55]를 축출했다. 쿠데타에서 사담의 역할은 (공식적인 기록을 제외하고는) 매우 중요하지 않았지만, 사담은 이후 쿠데타 성공에 필수적이었던 총리 압드 알 라자크 안 나이프가 이끄는 바아스당이 아닌 세력의 숙청을 계획하고 실행했다.[56] 반공식 전기에 따르면, 사담은 나이프를 총으로 위협하며 이라크를 떠나는 비행기에 태웠다고 한다.[57] 아리프는 런던과 이스탄불에 망명했다. 알 바크르는 대통령으로, 사담은 부통령 겸 바아스당 혁명 지도위원회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 전기 작가들에 따르면, 사담은 최초의 바아스당 정부 내 긴장을 결코 잊지 않았으며, 이는 바아스당 통합을 증진하기 위한 그의 조치, 권력 유지를 위한 그의 결의, 그리고 사회적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그의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었다. 사담은 알 바크르의 부통령이었지만, 배후에서 강력한 당 정치인이었다. 알 바크르는 두 사람 중 나이가 많고 더 유명했지만, 1969년까지 사담이 당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혁명 지도 평의회 부의장(사실상 알-바크르의 2인자)으로서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은 진보적이고 효율적인 정치가로 명성을 쌓았다.[58] 이 시기에 사담은 바트당의 강화와 통합을 지원하고, 국가의 주요 국내 문제 해결과 당의 지지 기반 확대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새 정부 내에서 지위를 끌어올렸다.
사담은 이라크 경제의 현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권력 구조 내 쿠데타와 그 외 반란을 막기 위한 강력한 보안 기구를 만들었다. 이라크 사회의 다양한 계층 사이에서 지지 기반을 확대하고 대중적 지지를 동원하는 데 항상 관심을 가졌던 그는 국가 복지 및 개발 프로그램의 행정을 면밀히 관찰했다.
1968년 바트당이 권력을 잡은 후, 사담 후세인은 심각한 긴장으로 가득 찬 국가에서 안정을 확보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 이전부터 이라크는 수니파와 시아파, 아랍인과 쿠르드족, 부족장과 도시 상인, 유목민과 농민, 유대인과 반유대주의자 등 사회, 민족, 종교, 경제적 갈등으로 분열되어 있었습니다.[62] 분파주의가 만연한 국가에서 안정적인 통치를 원했던 사담 후세인은 대규모 탄압과 생활 수준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추구했습니다.
1970년 11월 제1차 이라크-쿠르드 전쟁이 끝난 후, 사담 후세인은 무스타파 바르자니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쿠르드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했습니다.[63] 그러나 이 협정의 실패와 키르쿠크와 카나킨 주변 석유가 풍부한 지역에서의 아랍화 정책은 제2차 이라크-쿠르드 전쟁의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63] 한편, 페이리 쿠르드족 또한 체계적인 박해를 받았습니다.[64]
바트당 통치 초기에는 유대인들이 정부의 탄압을 받았습니다.[65] 사담 후세인은 많은 유대인을 포함한 13명을 공개적으로 교수형에 처하는 것을 담당했습니다.[65] 그들은 이스라엘을 위해 스파이 활동을 했다는 혐의를 받았습니다.[65] 하지만 이후 정부는 유대인에 대한 탄압 정책을 폐지했습니다.[65] 1975년 11월, 정부는 추방되었던 유대인들을 이라크로 돌아오도록 초청하는 법령을 발표했습니다.[65] 이스라엘 정부는 이 법령을 정치적 선전이라고 비판했습니다.[65] 소수의 유대인 가족만이 이라크로 돌아왔습니다.[65] 따라서 이 법령은 많은 유대인들을 끌어들이는 데 실패했습니다.[65]
1972년,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은 소련(Soviet Union)과 15년간의 우호 협력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역사학자 찰스 R.H. 트립(Charles R.H. Tripp)에 따르면, 이 조약은 "냉전(Cold War)의 일환으로 중동에 수립된 미국이 주도하는 안보 체제를 뒤흔들었습니다. 바그다드 정권의 적이라면 누구든 잠재적인 미국의 동맹국이 될 수 있다는 인상을 주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은 무스타파 바르자니(Mustafa Barzani)가 이끄는 쿠르드 반군을 비밀리에 지원했습니다. 이는 제2차 이라크-쿠르드 전쟁(Second Iraqi–Kurdish War) 중에 발생했으며, 1975년 쿠르드족이 패배하면서 수십만 명의 쿠르드 민간인들이 강제 이주당했습니다.
사담 후세인은 농촌 지역에서 바트당(Ba'athists)에 대한 충성심을 키우는 데 집중했습니다. 외국 석유 이권을 국유화한 후, 사담 후세인은 농촌 지역의 현대화를 감독하며 대규모 농업 기계화와 소작농에 대한 토지 분배를 실시했습니다. 바트당은 농업 협동조합을 설립했고, 정부는 1974년부터 1975년까지 농업 개발 지출을 두 배로 늘렸습니다. 사담 후세인의 복지 프로그램은 사담 후세인에 대한 지지를 높이기 위한 "당근과 채찍" 전술의 일부였습니다. 국영 은행들은 그의 통제하에 놓였고, 대출은 정실 인사에 기반했습니다.
1975년, 샤트알아랍 수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68] 이 협정에 따라 이라크는 수로의 동쪽 강둑에 대한 주권을 인정받았고, 이란은 서쪽 강둑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68] 또한 이 협정은 공동 항행 및 기타 조항을 허용했다.[68] 1975년 알제리 협정(알제리 조약으로도 알려짐)은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양국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1975년 3월 6일 이란과 이라크 사이에 체결된 중요한 외교 협정이었다.[68] 이 협정은 당시 알제리 대통령 후아리 부메디엔(Houari Boumediene)에 의해 중재되었다.[68] 알제리 협정 이전에 이란과 이라크는 두 국가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샤트알아랍 수로를 둘러싸고 오랜 영토 분쟁을 벌여왔다.[68] 알제리는 부메디엔 대통령이 주요 중재자 역할을 하면서 이란과 이라크 간 협상을 중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8]
알제리 협정은 영토 보전, 주권 존중, 내정 불간섭, 분쟁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에 기초했다.[68] 이 협정은 샤트알아랍 수로를 따라 새로운 국경선을 설정하여 수로를 중간 지점까지 이란과 이라크가 동등하게 분할했다.[68] 이란은 이 협정에서 이란의 통제하에 있었던 샤트알아랍 수로 동쪽 강둑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는 등 상당한 양보를 했다.[68]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은 이란과 이라크 사이의 오랜 분쟁의 원인이었던 샤트알아랍 수로를 포함하여 이라크의 영토 주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68]
양측은 상호 주권과 영토 보전을 인정하고 불가침 원칙을 확인했다.[68] 알제리 협정은 대사 교환을 포함하여 이란과 이라크 간의 완전한 외교 관계 회복을 촉구했다.[68] 이 협정은 무역, 운송, 공동 개발 프로젝트와 같은 분야에서 특히 두 국가 간의 경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8] 알제리 협정의 체결은 사담 후세인이 집권 바트당 내에서 권력을 점차적으로 강화하면서 이라크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시기에 이루어졌다.[68] 부통령으로서 사담 후세인은 알제리 협정 체결로 이어지는 협상에서 이라크의 이익을 대변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68] 이라크 정부 내에서 사담 후세인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협상 과정에서 이라크의 접근 방식과 입장을 형성할 수 있었다.[68] 협정 이후 이라크와 이란은 완전한 외교 관계를 회복하고 대사를 교환하여 중요한 외교적 돌파구를 마련했다.[68] 알제리 협정은 무역과 공동 개발 프로젝트와 같은 분야에서 특히 이라크와 이란 간의 경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8] 이 협정은 결국 향후 적대 행위를 막지는 못했지만, 사담 후세인의 초기 정치 경력 동안 이라크에게 주목할 만한 외교적 성과로 남았다.[68]

쿠르드족 정치에 대한 그의 입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사담 후세인은 쿠르드족에게 어느 정도 자치권을 허용했다. 쿠르드족은 학교, 텔레비전, 신문에서 쿠르드어를 사용할 수 있었고, 쿠르드 지역을 위한 교과서도 번역되었다. 이라크의 쿠르드족은 바그다드에 쿠르드족 대표를 선출할 수 있었으며, 쿠르디스탄 민주당은 이라크에서 합법적인 진보 정당으로 인정받았다.[72][73] 그는 이미 1970년 쿠르드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하는 협정에 서명했지만, 무스타파 바르자니(Mustafa Barzani)는 결국 이 협정에 동의하지 않아 제2차 이라크-쿠르드 전쟁이 발발했다.[73] 이라크는 이란, 터키, 시리아와 같은 다른 중동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특히 사담 후세인 정권 하에서 이웃 국가들보다 이라크 쿠르드족이 더 나은 대우를 받았다. 쿠르드어는 사담 후세인 정권 하에서 교육과 언론에서 허용되었고 공용어로 사용되었다.[74]
사담 후세인은 또한 여러 명의 쿠르드족 장관과 장군을 두었는데, 그중 가장 고위직에 있던 인물은 타하 야신 라마단(Taha Yassin Ramadan)이라는 이라크 쿠르드족으로, 사담 후세인의 충성심 때문에 이라크 3명의 부통령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94] 그는 또한 지역 사령부의 이라크 지부인 바스당의 부비서이자 인민군 사령관이었다.[94] 또 다른 쿠르드족인 타하 무히엘딘 마루프(Taha Muhie-eldin Marouf)은 1974년부터 2003년까지 3명의 부통령 중 한 명이었고 이탈리아, 몰타, 알바니아 대사를 지냈다.[75] 사담 후세인 자신도 쿠르드 문화를 좋아했으며, 이라크 북부를 국빈 방문할 때 종종 전통 쿠르드 의상을 입었다.[76]
이라크 아르메니아인들은 정부 법을 준수했고 사담 후세인에게 관용을 받았다.[77] 그의 근대화 노력의 결과로 아르메니아 공동체는 번영했다.[78] 2003년 이전에는 이라크에 10만 명의 아르메니아인이 있었다.[79] 사담 후세인의 유모는 이라크계 아르메니아인이었고, 그의 경호원, 보석 세공인, 재단사, 가정부 중 한 명도 아르메니아인이었다.[80] 이란과의 전쟁 중에 쿠르드족이 군 복무를 피해 도망쳤을 때, 아르메니아인들은 이라크를 위해 싸웠다.[77] 걸프 전쟁에서도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사담 후세인을 위해 싸웠고, 그중 3명이 사망했다.[77]

이라크는 무슬림이 다수인 다민족, 다종교, 다종파 국가이다.[93] 사담 후세인 통치 시대에도 다양한 종교와 민족 집단이 존재했다.[93]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사담 후세인은 본질적으로 종파적인 인물이 아니었다.[93] 그는 친척들을 주요 안보 및 군사 요직에 배치하기도 했지만, 다른 지역 사회와 소수 민족 출신 인물들을 이라크 권력의 최고위층에 진출시키기도 했다.[94] 이러한 인사 임명에 있어 그의 주요 기준은 그와 그의 정권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이었다.[94] 시아파 무슬림인 무하마드 사에드 알-사하프는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사담 후세인의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고, 2003년까지 정보부 장관을 역임했다.[93] 사담 후세인의 부통령 타하 야신 라마단은 소수 시아파 종파인 샤박 공동체 출신이었다.[94] 1991년 사담 후세인은 시아파 출신 사둔 하마디를 총리로 임명했다.[95] 그는 나중에 개혁적인 견해 때문에 해임되었지만, 의장직으로 복귀했다.[96] 이라크군의 80%는 시아파 무슬림 병력이었으며, 이들은 이란보다 이라크를 선택했다.[93]
2003년 이전에는 120만 명이 넘는 기독교인이 이라크에 거주했다. 타릭 아지즈는 이라크 아시리아인으로, 칼데아 가톨릭 소수 민족 출신이며,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이라크의 부총리로,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외무장관으로 사담 후세인에 의해 임명되었다.[97] 그의 측근이었던 아지즈는 또한 혁명 지휘 위원회와 아랍 사회주의 바아스당 이라크 지부의 지역 사령부의 일원으로 임명되었다.[97] 바아스주의의 창시자인 미셸 아플락 또한 기독교인이었다.[97][98] 바티칸의 이라크 대사였던 페르난도 필로니 추기경은 사담 후세인 정권 하에서 기독교인들이 무슬림이 다수인 이라크에서 자유롭게 신앙을 실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99] 2003년 3월 요한 바오로 2세는 사담 후세인을 방문하여 평화 메시지를 전달했다.[99][97]
사담 후세인 통치 기간 동안 이라크에는 약 1만 5천 명의 상당한 규모의 유대인 공동체가 남아 있었다.[100][101] 유대인들은 사담 후세인에 의해 보호받고 좋은 대우를 받았다.[102] 그는 남은 약 150명의 유대인들이 이라크를 떠날 수 있도록 도왔다고 알려져 있다.[103][104] 그의 정부에는 유대인 대표가 있었다.[105] 산업부 산하 국영 기업의 기술 책임자이자 전문가였던 샤울 사손은 유대인이었다.[106] 바스라 출신의 유대인 화학자인 이브라힘 헤스켈은 1988년 사담 후세인에 의해 중국으로 무역 사절단으로 파견되었다.[107] 그는 메이르 타웨이그 회당의 복원과 바그다드 유대인들을 위한 새로운 묘지 건설에 기여했다.[108] 1998년 유대교 명절인 수콧에 한 팔레스타인인이 바그다드 회당에 들어와 유대인 2명을 포함한 4명을 총으로 살해했다.[109] 공격자는 체포되어 1999년 처형되었다.[110] 사담 후세인이 주재한 내각 회의는 이 공격을 규탄했다.[110] 그는 또한 "바그다드에서 유대인을 해친 자는 엄중한 대가를 치를 것이다"라고 말했다.[111][112][108][107][104]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의 만다인 소수 민족을 보호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13] 만다인들은 그의 정부 하에서 국가의 보호를 받았다.[115][114] 존중의 표시로 만다인 요한복음서의 첫 번째 아랍어 번역본이 사담 후세인에게 증정되었다.[115][113][117] 이후 그는 "이라크인들은 무슬림이든, 기독교인이든, 사바인이든 종교의 자유를 가지고 있다"라고 말하며 만다인을 위한 사원 건설을 서약했다.[116][117] 바그다드 사바인-만다인 만디는 재무부가 기증한 토지에 건설되었다.[117][114] 만다인들은 이라크에서 최고의 금세공인과 보석상 중 일부였으며, 사담 후세인의 개인 보석상도 만다인 출신이었다.[117][118] 그러나 그의 몰락 이후 만다인들은 심각한 박해와 끊임없는 납치를 당했다.[118][117] 그들은 종종 사담 후세인 통치하에서 더 나았다고 말하며 그에게서 받은 보호에 대해 칭찬했다.[117][118]
2. 2. 1. 바트당 활동
1957년 바트당에 입당했다. 1959년 압둘 카림 카심 총리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다리에 총상을 입었지만, 베두인으로 변장하여 티그리스강을 헤엄쳐 시리아로 도피했고, 이후 이집트로 망명했다. 시리아 체류 중에는 바트당의 창시자 미셸 아플라크의 총애를 받았다. 망명 중 궐석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고, 이집트에서 카이로 대학교 법학부에서 수학했다.[39][40]1963년 압둘 살람 아리프 장군이 이끈 라마단 혁명 쿠데타로 카심 정권이 붕괴되자 귀국해 바트당의 농민국장이 되었다. 이 해에 사지다와 정식으로 결혼하였다. 그러나 바트당 정권은 당 내 좌우 양파의 권력투쟁 때문에 정권을 잃게 된다. (1963년 11월 이라크 쿠데타)
1964년 아리프 대통령의 암살을 계획했지만 사전에 발각되어 체포, 투옥당했다가 1966년 탈옥해 지하활동을 벌였다. 1968년 7·17 혁명으로 바트당은 다시 정권을 잡았고, 이 쿠데타에서 사담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2. 2. 2인자
바크르 정권에서는 입각은 하지 않았지만, 치안기관에 종사해 바크르 대통령의 권력 강화에 협력하였다. 그 결과, 1969년에 혁명 지도 평의회(RCC)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사담은 이라크 바트당을 시리아 바트당의 영향력으로부터 갈라 놓는 공작을 시작해 범아랍주의를 주창하면서도, 숙부 하이랄라가 주창한 「이라크 민족주의」를 국가의 새로운 이데올로기로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사상에 대해 그는 「이라크 인민은 문명의 발상지인 고대 메소포타미아 백성의 자손이다」라고 말하였다.[324]거기에 그는 새로운 치안·정보기관을 설치해, 그 장(長)에 측근이나 친족을 임명하고, 치안 기관을 스스로의 지배하에 두어 이라크를 경찰 국가로 변모시켰다. 비밀경찰이나 치안군에 의한 국민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었다. 또, 정부의 고위직에는 대부분 동향인 티크리트나 그 주변지역 출신자를 등용하였다. 정부 부처와 이라크 군 내부에도 바트당원으로 구성된 정치 위원을 배치하여 동향을 보고받았다. 그 때문에, 혜택을 받지 못한 다른 지역 사람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쌓여갔다.
1973년 6월에 시아파인 나짐 카자르 내무치안장관이 바크르와 사담의 암살을 계획하지만 사전에 비밀이 유출되어 실패하였고, 관련자 전원이 사형에 처해졌다. 이때 사건과 관련 없는 인물, 특히 이라크 국민들로부터 높은 인망을 얻고 차기 대통령으로 불리던 아브둘 하릭 사마라이 같은 바트당 내 사담 후세인의 라이벌들도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숙청되었다.
바트당은 원래 카심 내각에 참여했으나, 카심은 나세르가 새로이 결성한 이집트와 시리아의 연합에 참여하는 것을 꺼렸다. 그는 이라크 내 여러 집단(특히 사회민주주의자와 이라크 공산당)의 주장에 동조하여 그러한 행동은 위험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대신 카심은 "이라크 제일"이라는 ''와타니야(wataniyah)'' 정책을 채택했다.[28][29] 정부 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카심은 아랍 민족주의 개념에 반대하는 이라크 공산당과 동맹을 맺었다. 그의 정책은 바트당을 포함한 여러 아랍 민족주의 단체들의 분노를 샀고, 바트당은 나중에 1959년 10월 7일 알라시드 거리에서 카심 암살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사담은 암살 음모에 가담할 것을 가담자 중 한 명이 빠진 후, 음모의 배후자인 압둘 카림 알-셰이크리에 의해 모집되었다. 매복 중 사담은 (단지 지원 사격만 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예상보다 빨리 사격을 시작하여 작전 전체를 혼란에 빠뜨렸다. 카심의 운전기사가 사망했고 카심은 팔과 어깨에 부상을 입었다. 암살자들은 카심을 죽였다고 생각하고 신속하게 본거지로 후퇴했지만, 카심은 살아남았다.[29] 사담은 암살팀에 늦게 합류했기 때문에 이라크 외부에서 훈련을 받았다고 여겨지지 않는다.[30]
리처드 세일은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UPI)에서 전 미국 외교관이자 정보 당국자인 아델 다르위시와 다른 전문가들을 인용하여 카심에 대한 암살 시도가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이집트 정보 기관의 공동 작업이었다고 보도했다.[31] 이라크 내 CIA 작전과 관련된 당시의 관련 기록은 기밀로 분류되거나 대부분 삭제되어 "그럴듯한 부인 가능성"을 허용했다.[32] 이집트가 어떤 형태로든 암살 시도에 관여했고, "[미국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나세르와 협력하고 있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33] 세일과 다르위시의 주장은 역사가 브라이언 R. 기브슨에 의해 논란이 되었는데, 그는 공개된 미국의 문서가 "미국이 카심에 대한 여러 음모를 알고 있었지만 여전히 비간섭 정책을 고수했다"는 결론을 내렸다.[34] 반면 역사가 케네스 오스굿은 "미국과 아랍연합공화국이 바트당 활동가들과 협력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쓰며, "[세일의] 주장의 타당성이 무엇이든, 적어도 현재 공개된 문서는 미국 당국자들이 카심에 대한 여러 음모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CIA가 이라크에서 비밀 작전을 위한 자산을 구축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결론짓고 있다.[33]
공격 당시 바트당의 당원 수는 1,000명 미만이었다. 그러나 실패한 암살 시도는 이전까지 무명에 가까웠던 사담과 바트당을 이라크 전역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이라크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사담의 대중적 이미지에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33][35] 카난 마키야는 다음과 같이 회고한다.
이 사건에서 인물과 신화가 융합된다. 그의 전기 – 그리고 이 이야기를 지겹도록 방영하는 이라크 텔레비전 – 는 그가 열 살 때부터 총에 익숙했던 것, 1959년 작전 중 그의 용기와 당에 대한 충성심, 총을 겨누어 차를 빼앗아 동지들을 구한 용감함, 은신처에서 그의 지시로 몸에서 꺼낸 총알, 심각하게 부상당한 팀원을 병원에 데려다 주려던 약한 동료들에게 총을 겨누었던 철의 규율, 경찰이 들이닥치기 직전에 자신을 구할 수 있었던 계산적인 기민함, 그리고 부상당한 채 집에서 집으로, 도시에서 도시로, 사막을 가로질러 시리아로 피신하는 긴 여정을 보여준다.[36]
바트당 운동의 지도자 미셸 아플락은 당이 카심 암살을 시도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푸아드 알-리카비와 같은 이라크 바트당 주요 당원들의 축출을 조직했다. 동시에 아플락은 사담을 포함한 그의 지지자들을 이라크 바트당 지도부에 배치했다.[37]
사담을 포함한 암살자들은 모두 결국 카이로 이집트로 탈출하여 "카심이 권력을 유지하는 동안 나세르의 보호를 받았다."[38] 사담은 처음 시리아로 탈출했다가 1960년 2월 이집트로 갔고, 1963년까지 그곳에 살면서 1961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카이로 법과대학(1962-1963)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39][40] 사담이 망명 중 카이로에 있는 미국 대사관을 방문했을 가능성이 있으며,[41] 일부 증거는 그가 "미국 관리들과 정보 요원들과 빈번하게 접촉했다"는 것을 시사한다.[33] 고위 미국 관리 출신의 한 인물은 마리온 파룩-슬루글렛과 피터 슬루글렛 역사가들에게 사담을 포함한 이라크 바트당원들이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미국 당국과 접촉했다"고 말했다.[42]
바트당과 연계된 군 장교들이 1963년 2월 라마단 혁명 쿠데타를 통해 카심을 전복하고 살해했는데, 오랫동안 CIA의 지원을 받았을 것이라고 의심받았다.[43][44] 그러나 이라크 내 CIA 작전과 관련된 당시의 관련 문서는 미국 정부에 의해 기밀로 분류되어 있다.[45][46] 하지만 바트당원들이 쿠데타 전후에 미국 관리들과 지지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것은 기록으로 남아 있다.[47][48] 바트당 지도자들이 내각에 임명되었고 압둘 살람 아리프가 대통령이 되었다. 아리프는 같은 해 1963년 11월 이라크 쿠데타에서 바트당 지도자들을 해임하고 체포했다. 당시 이집트에 망명 중이었던 사담은 1963년 쿠데타나 그 후에 일어난 잔혹한 반공 숙청에 어떤 역할도 하지 않았지만, 쿠데타 후 이라크로 돌아와 귀국 후 바트당 민간 부문의 주요 조직자가 되었다.[49] 카심 시대와 달리 사담은 1963년 11월 아리프의 반바트당 숙청 이후에도 이라크에 남아 아리프 암살을 계획하는 데 관여했다. 카심과는 대조적으로 사담은 아리프 정부로부터 사형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시리아로 다시 도망치는 대신 체포될 위험을 감수했다. 사담은 1964년 10월 체포되어 약 2년간 투옥 생활을 하다가 1966년 탈출했다.[50] 1966년 아흐메드 하산 알바크르는 그를 지역 사령부 부서기로 임명했다. 뛰어난 조직자로 입증된 사담은 당을 활성화시켰다.[51]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바트당 사상의 창시자인 미셸 아플락의 도움으로 지역 사령부에 선출되었다.[52] 1966년 9월 사담은 같은 해 초 시리아 바트당의 마르크스주의 장악에 대한 대응으로 시리아의 바트당 지배에 대한 특별한 도전을 시작하여 당이 두 개의 분리된 세력으로 공식적으로 분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53] 그런 다음 사담은 그가 단독으로 통제하는 바트당 보안 기관을 만들었다.[54]
1968년 7월, 사담은 아흐메드 하산 알 바크르가 이끈 무혈 쿠데타에 참여하여 압둘 라흐만 아리프[55]를 축출했다. 쿠데타에서 사담의 역할은 (공식적인 기록을 제외하고는) 매우 중요하지 않았지만, 사담은 이후 쿠데타 성공에 필수적이었던 총리 압드 알 라자크 안 나이프가 이끄는 바아스당이 아닌 세력의 숙청을 계획하고 실행했다.[56] 반공식 전기에 따르면, 사담은 나이프를 총으로 위협하며 이라크를 떠나는 비행기에 태웠다고 한다.[57] 아리프는 런던과 이스탄불에 망명했다. 알 바크르는 대통령으로, 사담은 부통령 겸 바아스당 혁명 지도위원회 부의장으로 임명되었다. 전기 작가들에 따르면, 사담은 최초의 바아스당 정부 내 긴장을 결코 잊지 않았으며, 이는 바아스당 통합을 증진하기 위한 그의 조치, 권력 유지를 위한 그의 결의, 그리고 사회적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그의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었다. 사담은 알 바크르의 부통령이었지만, 배후에서 강력한 당 정치인이었다. 알 바크르는 두 사람 중 나이가 많고 더 유명했지만, 1969년까지 사담이 당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3. 집권과 전쟁
사담 후세인은 1960년대부터 러시아 정보기관 요원 예브게니 프리마코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프리마코프는 1991년 사담 후세인이 권좌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125] 사담 후세인은 서구 국가를 단 두 곳만 방문했는데, 1974년 12월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초청으로 마드리드를 방문했고,[126] 1975년 9월에는 파리에서 자크 시라크 총리와 만났다.[127] 일부 이라크 지도자들과 레바논 무기상 사르키스 소가날리안 등은 사담 후세인이 시라크의 정당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주장하며, 1991년 사담 후세인은 자신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사람들을 폭로하겠다고 위협했다.[127] 프랑스는 사담 후세인에게 무기를 공급했으며, 사담 후세인 통치 기간 내내 이라크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127] 압수된 문서들은 시라크의 측근인 샤를 파스카를 포함한 프랑스 관리들과 사업가들이 사담 후세인과의 거래로 개인적으로 이익을 얻었음을 보여준다.[127]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를 거의 떠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보좌관 중 한 명인 타리크 아지즈가 해외를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많은 외교 회담에서 이라크를 대표했다.[128] 외교 정책에서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가 중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를 원했다.[128] 이라크는 1972년 소련과 원조 조약을 체결했고, 무기와 수천 명의 고문들이 파견되었다. 1978년 이라크 공산당에 대한 탄압과 서방으로의 무역 전환은 이라크와 소련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이후 이라크는 1991년 걸프 전쟁까지 더 서구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129]
1973년 석유 위기 이후 프랑스는 더 친 아랍 정책으로 전환했고, 사담 후세인은 그에 따라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그는 1975년 프랑스를 국빈 방문하여 일부 프랑스 기업과 여당 정치권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1975년 사담 후세인은 국경 분쟁에 대한 이라크의 양보를 포함하는 이란과의 협정을 협상했다. 그 대가로 이란은 이라크 반정부 쿠르드족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사담 후세인은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캠프 데이비드 협정(1979)에 대한 아랍 국가들의 반대를 이끌었다.
1920년 현대 국가로 건국된 이래 이라크는 북부 지역의 쿠르드족 분리주의자들과 싸워왔다.[130] 사담 후세인은 1970년 분리주의 쿠르드족 지도자들과 자치권을 부여하는 협정을 맺었지만, 이 협정은 결렬되었다. 그 결과 정부와 쿠르드족 단체 간에 잔혹한 전투가 벌어졌고, 이라크는 이란의 쿠르드족 마을을 폭격하여 이라크와 이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사담 후세인이 1975년 이란과 조약을 체결한 후, 샤는 쿠르드족에 대한 지원을 철회했고, 쿠르드족은 패배했다.
사담 후세인은 1980년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이라크의 우라늄 농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31] 첫 번째 이라크 원자로는 프랑스가 "오시라크"라고 명명했다.[131] 이 원자로는 1981년 6월 7일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오페라 작전)으로 파괴되었다.[131]
사담 후세인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그의 헌신과 반이스라엘 입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2000년 5월, 사담 후세인과 그의 대표자들은 이스라엘 정부와 비밀 회담을 가졌다.[132] 그는 이스라엘이 레바논의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를 해결한다면 이라크가 반이스라엘 외교 정책을 종식시킬 것을 제안했다.[132] 2001년,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 텔레비전을 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133]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제2차 인티파다가 발생한 후, 사담 후세인은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연대하기 위한 자원봉사 부대인 예루살렘 군대를 창설했다.[134] 이 부대는 그의 막내아들 쿠세이의 감독 하에 있었다.[134][135] 2000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사담 후세인은 기독교인과 무슬림들에게 시온주의 운동에 맞서 지하드를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썼다.[136] 2002년 아랍 연맹 정상회의는 레바논의 베이루트에서 열렸다.[137] 이 정상회의에서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랍 평화 구상이 제안되었다.[137] 이자트 이브라힘 알두리가 이라크 대표로 정상회의에 참석했다.[137] 알두리는 이 계획에 반대하지 않았다.[137] 또한 이 정상회의에서는 이라크에 대한 어떠한 공격도 거부했다.[138]
그의 말년 내내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의 석유 수입에서 팔레스타인 희생자와 무장 세력의 가족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139] 석유 대 식량 프로그램을 통해 이라크 석유 수입의 약 20%가 팔레스타인에 기부되었다.[139] 미국과 이스라엘의 주장과는 달리, 모든 돈이 자살 폭탄 테러를 지원하는 데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139] 사담 후세인은 팔레스타인인들에게 10억 유로를 기부하여 봉기를 지원했다.[140] 그는 또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역에서의 공격을 포기하도록 강제하기 위해 서방 국가들에 대한 석유 공급을 중단했는데, 이는 이란과 리비아의 지지를 받았다.[141]
2000년 8월, 베네수엘라 대통령 우고 차베스가 이라크를 방문하여 사담 후세인을 만났다.[193] 그는 걸프 전쟁 이후 이라크를 방문한 첫 번째 외국 정상이였다.[194][193] 사담 후세인과의 회담은 베네수엘라 석유의 주요 수입국인 미국의 비판을 받았다.[194] 다음 달 정상회담을 위해 OPEC 회원국 10개국 정상을 초청하는 순방 중 차베스는 석유수출국기구의 미래 역할과 합리적인 유가 방어에 관한 사담 후세인과의 "유익한" 논의를 언급했다.[194] 차베스는 이러한 문제에서 양국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94] 차베스와 사담 후세인의 논의는 두 지도자 모두 활동하던 시기에 이루어졌다.[194] 차베스는 OPEC 회원국 간의 유대 강화와 협력 증진을 추구하며, 기구의 미래 방향과 합리적인 수준의 유가 유지를 강조했다.[194] 그 목표는 세계 석유 시장의 안정과 공정성을 보장하는 것이었다.[194]
2000년 10월에는 당시 리비아 지도자 무아마르 카다피의 딸 아이샤 카다피가 사담 후세인을 방문했다.[195] 사담 후세인은 이후 이라크 석유 대금 결제에 달러 대신 유로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196] 2001년 이후 유엔의 석유 대 식량 프로그램 하에서 이라크 석유 수출 대금의 대부분은 유로로 지급되었다.[196] 약 260억 유로(약 174억 파운드)가 33억 배럴의 석유 대금으로 뉴욕의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되었다.[196] 내부적으로 사담 후세인은 계속해서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을 유지하고 정치적 반대 세력을 탄압했다.[197] 2000년 10월부터 11월까지 사담 후세인은 제2차 인티파다 동안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자원봉사 캠페인을 이끌었다.[198] 아랍 국가들과의 이라크 외교적 고립은 점차 사라지고 있었다.[199] 2001년 4월 25일, 영국 정부는 사담 후세인의 혐의된 전쟁 범죄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200] 2001년 4월 28일, 사담 후세인은 대규모 행사 형태로 생일을 축하했다.[201]
다음 달 바그다드에서 열린 바트당 대회에서 사담 후세인은 당 총서기로 선출되었고, 회의장의 모든 대표가 일어섰다.[202] 그러나 이라크 지역 사령부로 알려진 바트당의 18명의 집행부는 비밀 투표를 통해 선출되었다.[202] 국영 방송은 24명의 후보가 출마했고 8명의 신임 집행위원이 선출되었다고 보도했다.[202] 그중에는 사담 후세인의 막내아들 쿠세이도 포함되어 있었다.[202] 바트당이나 정부에서 높은 직책을 맡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우다이는 오랫동안 아버지의 후계자로 여겨져 왔다.[202] 이 상황은 시리아와 비슷했는데, 바샤르 알아사드는 2000년 이전에 당이나 정부에서 고위직을 맡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통령이 되었다.[202] 사담 후세인은 300명이 넘는 대표들에게 투표 방법을 조언하는 연설로 바그다드 당 회의를 시작했다.[202] 연설 후 선거가 진행되었다.[202] 또 다른 놀라운 사실은 후다 살리 마디 아마시가 당 집행부에 선출된 최초의 여성이 된 것이다.[202] 사담 후세인은 최근 이라크에서 여성의 역할 증대를 장려해왔다.[202] 사령부의 사무총장인 이자트 이브라힘은 재선되었고, 헌법에 따라 사담 후세인의 갑작스러운 사망 시 임시 대통령이 될 예정이었다.[202] 집행부 자리를 잃은 사람들 중에는 부총리 모하메드 함자 주베이디가 있었다.[202]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사담 후세인에게 메시지를 보내 이라크와 러시아 간의 외교 관계 증진을 촉구했다.[203] 사담 후세인은 또한 쿠르드족을 협상 테이블로 초청했다.[204] 사담 후세인을 축출하기 위한 외국 쿠데타가 계획되었으나, 3개월 후 9.11 테러 이후 중단되었다.[205] 2002년 오스트리아 검찰은 사담 후세인 정부와 프리츠 에들링거 간의 거래가 오스트리아의 자금 세탁 및 금수 조치 규정을 위반했을 가능성에 대해 조사했다.[206] 오스트리아-아랍 관계 협회(GÖAB) 사무총장이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중동위원회 전 위원인 프리츠 에들링거는 사담 후세인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2005년 한 오스트리아 언론인은 프리츠 에들링거의 GÖAB가 이라크 위장 회사로부터 10만 달러를 받았고 이라크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오스트리아 기업으로부터 기부금을 받았다고 밝혔다.[207] 2002년 유럽연합(EU)이 제안한 결의안이 인권위원회에서 채택되었는데, 이 결의안은 이라크의 인권 위기가 개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207] 이 성명서는 사담 후세인 정부의 "체계적이고 광범위하며 극히 심각한 인권 침해 및 국제 인도법 위반"을 규탄했다.[207] 이 결의안은 이라크가 "즉결처형 및 자의적 처형...성폭행을 정치적 도구로 사용 및 모든 강제 실종 및 강제 실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208]
== 대통령 취임 ==
1979년 7월 17일, 바크르가 병을 이유로 대통령직을 사임한다고 발표하자, 사담은 이라크 공화국 제5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325][326][327] 바크르의 권위는 1977년에 부통령이 된 사담이 혁명지도평의회 멤버와 각료를 자신의 측근으로 교체한 이래 저하되고 있었다. 바크르가 사담에 의해 은퇴를 강요당했다는 증언도 있다. 이라크 국내의 바크르의 동상이나 초상화도 사담의 것으로 바뀌어 갔다.
1976년,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군 장군으로 승진하여 정부의 실권자가 되었다. 건강이 악화된 고령의 알-바크르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자, 사담 후세인은 내외적으로 정부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는 곧 이라크의 외교 정책 설계자가 되었고, 모든 외교 상황에서 국가를 대표하게 되었다. 그는 1979년에 공식적으로 권력을 잡기 몇 년 전부터 이미 이라크의 사실상 지도자였다. 그는 이라크 정부와 바트당에 대한 그의 권력을 서서히 강화하기 시작했다. 당 동료들과의 관계는 신중하게 관리되었고, 사담 후세인은 곧 당 내에서 강력한 지지 기반을 구축했다.
1979년, 알-바크르는 바트당 지도하에 있는 시리아와 두 국가의 통합으로 이어질 조약을 체결하기 시작했다. 시리아 대통령 하피즈 알아사드가 연합 정부의 부지도자가 될 것이었고, 이는 사담 후세인을 몰락으로 몰아넣을 수 있었다. 사담 후세인은 자신의 권력을 확보하기 위해 행동했다. 그는 1979년 7월 16일 병든 알-바크르의 사퇴를 강요하고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을 인수했다.
집권 직후 사담 후세인은 바트당 내 반대파를 숙청, 처형했다. 1979년 7월 22일, 알-훌드 홀에서 열린 당 임시 회의에서 시리아와 공모한 배신 행위가 당 내부에서 발각되었다는 이유로, 사담 후세인 자신이 한 명씩 "반역자"의 이름을 거론하며 66명이 회의장에 대기하고 있던 정보총국 요원들에 의해 끌려나갔고, 그날 안으로 혁명 지도 평의회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특별 법정에서 55명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졌으며, 22명은 동료 당원들에 의해 총살되었다.[328] 숙청된 사람들 중에는 사담 후세인의 대통령 취임에 반대했던 무히 아브드 알-라세인 마슈하다니 혁명 지도 평의회 중앙 서기국장, 사담 후세인의 측근이었던 아드난 알 함다니 부총리, 이라크 석유 국유화의 주역이었던 무르타다 하디시 전 석유장관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때 당에서 제명된 인물들도 나중에 암살되거나 투옥되어 처형됨으로써, 당 내부의 사담 후세인 반대파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 이란-이라크 전쟁 ==
사담 후세인 정권은 1979년 이란 혁명이 이라크 내 시아파에게 확산될 것을 우려하여 1980년 이란을 선제 공격, 이란-이라크 전쟁을 일으켰다.[143] 이란과의 갈등은 팔레비 왕조 시절부터 샤트알아랍 수로 영유권 문제와 역사적인 반(反)이란 감정에서 비롯되었다.[329]
전쟁 초기 이라크는 우세했으나, 이란의 반격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143] 이란은 인해전술을 동원하여 이라크에 큰 타격을 주었고 1982년에는 이라크가 수세에 몰렸다. 이란은 이라크 영내까지 진입했고, 북부에서는 이란과 동맹한 쿠르드인 세력이 무장 투쟁을 벌였다.[143]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이란 혁명의 확산을 우려하여 이라크를 지원했다.[143] 1983년 도널드 럼즈펠드 특사가 파견되어 사담 후세인과 회담했고,[143] 1984년 양국은 국교를 회복했다.[150] 미국은 이라크에 무기와 정보를 제공했으나, 이란-콘트라 사건에서 드러났듯이 이란에도 비밀리에 무기를 판매했다.[153]
영국, 프랑스, 소련 등도 이라크를 지원했다.[332][333] 이들 국가는 이란 혁명의 파급을 우려했고, 이라크에 무기 등 지원을 제공했다.[273] 특히, 소련, 프랑스, 중국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라크 무기 수입의 90%를 차지했다.[332][333] 이라크는 서독 기업 등으로부터 화학 및 생물 무기 원료를 수입하기도 했다.[376]
전쟁 중 이라크는 이란군과 쿠르드족을 상대로 화학 무기를 사용했다.[143] 이라크 외무장관 타리크 아지즈는 이란에 대한 화학 무기 사용을 인정했다.[145][143] 1982년에는 두자일 학살이 발생했는데, 이는 사담 후세인 암살 미수 시도에 대한 보복으로 주민들이 학살당한 사건이다.[376]
사담 후세인은 1975년 알제 협정으로 상실했던 샤트알아랍 수로의 영토적 권리를 회복하고, 걸프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29] 1980년 9월 17일, 알제 협정을 파기하고[331] 9월 22일 이란을 침공했다.[143]
사담 후세인은 후제스탄주의 아랍인들이 이라크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들은 이라크에 저항했다.[329] 또한, 이라크는 탱커 전쟁을 일으켜 석유 위기에 놓인 국가들을 전쟁에 끌어들이려 했다.[336]
1987년 유엔은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고, 1988년 이란이 수용하면서 전쟁은 종식되었다.[143] 양측은 막대한 피해를 보았고, 국경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154]
== 걸프 전쟁과 유엔 제재 ==
1988년에 끝난 이란-이라크 전쟁은 이라크를 중동의 군사 대국으로 만들었지만, 동시에 막대한 부채를 안겼다. 사담 후세인은 쿠웨이트에 부채 탕감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고, OPEC 내에서 쿠웨이트가 감산에 반대하며 석유 가격을 낮게 유지하자 긴장이 고조되었다. 사담 후세인은 쿠웨이트가 역사적으로 이라크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며 군사적 압박을 가했다.
1990년 8월 2일, 사담 후세인 정권은 쿠웨이트를 침공하고 병합을 선언했다.[273][175]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이라크의 19번째 주로 선포하였으나,[122] 국제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조지 H. W. 부시는 유엔의 지원을 받아 이라크에 대한 경제 제재를 가하고, 1991년 걸프 전쟁에서 다국적군을 이끌어 이라크군을 쿠웨이트에서 몰아냈다.[61]
이라크 침공전, 에이프릴 글래스피(April Glaspie) 주 이라크 미국 대사는 사담 후세인과 회담을 가졌는데, 이 자리에서 후세인은 미국의 정책을 비난하며 압력에는 굴복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172] 글래스피는 쿠웨이트와의 국경 분쟁에 대해 미국은 중립적인 입장임을 밝혔지만,[172] 결국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막지 못했다.
전쟁 이후, 이라크 내 시아파와 쿠르드인의 반란이 일어났으나,[183] 사담 후세인 정권은 이를 잔혹하게 진압했다.[273] 미국은 반군을 지원하지 않았고, 사담 후세인은 권력을 유지했지만, 이라크는 경제적, 군사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273]
사담 후세인은 자신의 생존을 이라크의 승리로 포장하며 아랍 세계의 지지를 얻으려 했고,[273] 반서구적 감정을 자극했다.[273] 알라후 아크바르라는 문구를 국기에 추가하고, 자신의 피로 쓴 "피 코란" 제작을 의뢰하는 등 종교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84]
유엔의 이라크 제재는 장기간 지속되었고, 이라크 국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185][186][187][188][189] 1996년 석유 대 식량 계획이 시작되었지만, 미국과 이라크의 관계는 계속 악화되었다. 미국은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을 제기하며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고,[190][191] 사막 여우 작전을 통해 이라크를 폭격했다.[192]
== 내정 피폐 ==
1977년 이후 잇단 전쟁과 흉년으로 세금 수입이 줄고 국가 재정이 악화, 탕진되었다.[183] 쿠웨이트 독립과 유엔의 이라크 제재로 인한 석유 수출 제한은 이라크 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85][186][187][188][189] 걸프 전쟁 직후부터 민심이 이반되기 시작하여 후세인 퇴진 운동이 벌어졌으나, 모두 무력으로 진압되었다.[183]
걸프전 패전 이후, 이라크 내 시아파 주민과 쿠르드인이 정권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1991년 이라크 반정부 봉기).[183] 봉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나, 미국의 지원 부재와 사담 후세인의 정예 공화국 방위군 투입으로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아파 시민에 대한 대량 학살이 발생했다.[183] 북부의 쿠르드족 역시 화학무기를 동원한 탄압을 받았고, 대량의 난민이 발생하여 인도적 위기가 초래되었다. 이에 미국, 영국, 프랑스는 이라크 북부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했다.[273] 1991년 6월에는 남부 습지대의 마슈 아랍인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이 역시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190][191]
1993년 1월, 사담 후세인은 남부 비행금지구역에 지대공 미사일을 설치하여 국제사회를 자극했다. 전년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빌 클린턴의 미국 대통령 취임식 직전이었지만, 다국적군의 공습을 초래했다. 같은 해 4월, 쿠웨이트를 방문한 부시 전 대통령 암살 기도 혐의로 이라크 공작원이 체포되었고, 6월에는 미군이 토마호크 미사일로 바그다드의 이라크 첩보기관을 공격했다.[193]
2000년부터 후세인은 서방 세계와의 화해 제스처를 취했지만, 2001년 9·11 테러로 실패했다. 사담은 자신의 피 27리터를 사용하여 쓴 "피 코란"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다.[184]
3. 1. 대통령 취임
1979년 7월 17일, 바크르가 병을 이유로 대통령직을 사임한다고 발표하자, 사담은 이라크 공화국 제5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325][326][327] 바크르의 권위는 1977년에 부통령이 된 사담이 혁명지도평의회 멤버와 각료를 자신의 측근으로 교체한 이래 저하되고 있었다. 바크르가 사담에 의해 은퇴를 강요당했다는 증언도 있다. 이라크 국내의 바크르의 동상이나 초상화도 사담의 것으로 바뀌어 갔다.1976년,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군 장군으로 승진하여 정부의 실권자가 되었다. 건강이 악화된 고령의 알-바크르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자, 사담 후세인은 내외적으로 정부의 대표적인 인물로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그는 곧 이라크의 외교 정책 설계자가 되었고, 모든 외교 상황에서 국가를 대표하게 되었다. 그는 1979년에 공식적으로 권력을 잡기 몇 년 전부터 이미 이라크의 사실상 지도자였다. 그는 이라크 정부와 바트당에 대한 그의 권력을 서서히 강화하기 시작했다. 당 동료들과의 관계는 신중하게 관리되었고, 사담 후세인은 곧 당 내에서 강력한 지지 기반을 구축했다.
1979년, 알-바크르는 바트당 지도하에 있는 시리아와 두 국가의 통합으로 이어질 조약을 체결하기 시작했다. 시리아 대통령 하피즈 알 아사드가 연합 정부의 부지도자가 될 것이었고, 이는 사담 후세인을 몰락으로 몰아넣을 수 있었다. 사담 후세인은 자신의 권력을 확보하기 위해 행동했다. 그는 1979년 7월 16일 병든 알-바크르의 사퇴를 강요하고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을 인수했다.
집권 직후 사담 후세인은 바트당 내 반대파를 숙청, 처형했다. 1979년 7월 22일, 알-훌드 홀에서 열린 당 임시 회의에서 시리아와 공모한 배신 행위가 당 내부에서 발각되었다는 이유로, 사담 후세인 자신이 한 명씩 "반역자"의 이름을 거론하며 66명이 회의장에 대기하고 있던 정보총국 요원들에 의해 끌려나갔고, 그날 안으로 혁명 지도 평의회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특별 법정에서 55명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졌으며, 22명은 동료 당원들에 의해 총살되었다.[328] 숙청된 사람들 중에는 사담 후세인의 대통령 취임에 반대했던 무히 아브드 알-라세인 마슈하다니 혁명 지도 평의회 중앙 서기국장, 사담 후세인의 측근이었던 아드난 알 함다니 부총리, 이라크 석유 국유화의 주역이었던 무르타다 하디시 전 석유장관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때 당에서 제명된 인물들도 나중에 암살되거나 투옥되어 처형됨으로써, 당 내부의 사담 후세인 반대파는 완전히 제거되었다.
3. 2. 이란-이라크 전쟁
사담 후세인 정권은 1979년 이란 혁명이 이라크 내 시아파에게 확산될 것을 우려하여 1980년 이란을 선제 공격, 이란-이라크 전쟁을 일으켰다.[143] 이란과의 갈등은 팔레비 왕조 시절부터 샤트알아랍 수로 영유권 문제와 역사적인 반(反)이란 감정에서 비롯되었다.[329]전쟁 초기 이라크는 우세했으나, 이란의 반격으로 전세가 역전되었다.[143] 이란은 인해전술을 동원하여 이라크에 큰 타격을 주었고 1982년에는 이라크가 수세에 몰렸다. 이란은 이라크 영내까지 진입했고, 북부에서는 이란과 동맹한 쿠르드인 세력이 무장 투쟁을 벌였다.[143]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이란 혁명의 확산을 우려하여 이라크를 지원했다.[143] 1983년 도널드 럼즈펠드 특사가 파견되어 사담 후세인과 회담했고,[143] 1984년 양국은 국교를 회복했다.[150] 미국은 이라크에 무기와 정보를 제공했으나, 이란-콘트라 사건에서 드러났듯이 이란에도 비밀리에 무기를 판매했다.[153]
영국, 프랑스, 소련 등도 이라크를 지원했다.[332][333] 이들 국가는 이란 혁명의 파급을 우려했고, 이라크에 무기 등 지원을 제공했다.[273] 특히, 소련, 프랑스, 중국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라크 무기 수입의 90%를 차지했다.[332][333] 이라크는 서독 기업 등으로부터 화학 및 생물 무기 원료를 수입하기도 했다.[376]
전쟁 중 이라크는 이란군과 쿠르드족을 상대로 화학 무기를 사용했다.[143] 이라크 외무장관 타리크 아지즈는 이란에 대한 화학 무기 사용을 인정했다.[145][143] 1982년에는 두자일 학살이 발생했는데, 이는 사담 후세인 암살 미수 시도에 대한 보복으로 주민들이 학살당한 사건이다.[376]
사담 후세인은 1975년 알제 협정으로 상실했던 샤트알아랍 수로의 영토적 권리를 회복하고, 걸프 지역의 패권을 장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29] 1980년 9월 17일, 알제 협정을 파기하고[331] 9월 22일 이란을 침공했다.[143]
사담 후세인은 후제스탄주의 아랍인들이 이라크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들은 이라크에 저항했다.[329] 또한, 이라크는 탱커 전쟁을 일으켜 석유 위기에 놓인 국가들을 전쟁에 끌어들이려 했다.[336]
1987년 유엔은 휴전 결의안을 채택했고, 1988년 이란이 수용하면서 전쟁은 종식되었다.[143] 양측은 막대한 피해를 보았고, 국경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154]
3. 3. 걸프 전쟁과 유엔 제재
1988년에 끝난 이란-이라크 전쟁은 이라크를 중동의 군사 대국으로 만들었지만, 동시에 막대한 부채를 안겼다. 사담 후세인은 쿠웨이트에 부채 탕감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고, OPEC 내에서 쿠웨이트가 감산에 반대하며 석유 가격을 낮게 유지하자 긴장이 고조되었다. 사담 후세인은 쿠웨이트가 역사적으로 이라크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며 군사적 압박을 가했다.1990년 8월 2일, 사담 후세인 정권은 쿠웨이트를 침공하고 병합을 선언했다.[273][175]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이라크의 19번째 주로 선포하였으나,[122] 국제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조지 H. W. 부시는 유엔의 지원을 받아 이라크에 대한 경제 제재를 가하고, 1991년 걸프 전쟁에서 다국적군을 이끌어 이라크군을 쿠웨이트에서 몰아냈다.[61]
이라크 침공전, 에이프릴 글래스피(April Glaspie) 주 이라크 미국 대사는 사담 후세인과 회담을 가졌는데, 이 자리에서 후세인은 미국의 정책을 비난하며 압력에는 굴복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172] 글래스피는 쿠웨이트와의 국경 분쟁에 대해 미국은 중립적인 입장임을 밝혔지만,[172] 결국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막지 못했다.
전쟁 이후, 이라크 내 시아파와 쿠르드족의 반란이 일어났으나,[183] 사담 후세인 정권은 이를 잔혹하게 진압했다.[273] 미국은 반군을 지원하지 않았고, 사담 후세인은 권력을 유지했지만, 이라크는 경제적, 군사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273]
사담 후세인은 자신의 생존을 이라크의 승리로 포장하며 아랍 세계의 지지를 얻으려 했고,[273] 반서구적 감정을 자극했다.[273] 알라후 아크바르라는 문구를 국기에 추가하고, 자신의 피로 쓴 "피 코란" 제작을 의뢰하는 등 종교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84]
유엔의 이라크 제재는 장기간 지속되었고, 이라크 국민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185][186][187][188][189] 1996년 석유 대 식량 계획이 시작되었지만, 미국과 이라크의 관계는 계속 악화되었다. 미국은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을 제기하며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고,[190][191] 사막 여우 작전을 통해 이라크를 폭격했다.[192]
3. 4. 내정 피폐
1977년 이후 잇단 전쟁과 흉년으로 세금 수입이 줄고 국가 재정이 악화, 탕진되었다.[183] 쿠웨이트 독립과 유엔의 이라크 제재로 인한 석유 수출 제한은 이라크 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85][186][187][188][189] 걸프 전쟁 직후부터 민심이 이반되기 시작하여 후세인 퇴진 운동이 벌어졌으나, 모두 무력으로 진압되었다.[183]걸프전 패전 이후, 이라크 내 시아파 주민과 쿠르드인이 정권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1991년 이라크 반정부 봉기).[183] 봉기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나, 미국의 지원 부재와 사담 후세인의 정예 공화국 방위군 투입으로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아파 시민에 대한 대량 학살이 발생했다.[183] 북부의 쿠르드족 역시 화학무기를 동원한 탄압을 받았고, 대량의 난민이 발생하여 인도적 위기가 초래되었다. 이에 미국, 영국, 프랑스는 이라크 북부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했다.[273] 1991년 6월에는 남부 습지대의 마슈 아랍인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이 역시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190][191]
1993년 1월, 사담 후세인은 남부 비행금지구역에 지대공 미사일을 설치하여 국제사회를 자극했다. 전년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빌 클린턴의 미국 대통령 취임식 직전이었지만, 다국적군의 공습을 초래했다. 같은 해 4월, 쿠웨이트를 방문한 부시 전 대통령 암살 기도 혐의로 이라크 공작원이 체포되었고, 6월에는 미군이 토마호크 미사일로 바그다드의 이라크 첩보기관을 공격했다.[193]
2000년부터 후세인은 서방 세계와의 화해 제스처를 취했지만, 2001년 9·11 테러로 실패했다. 사담은 자신의 피 27리터를 사용하여 쓴 "피 코란"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다.[184]
4. 몰락과 처형
2003년 3월 20일, 미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 1441호를 근거로 이라크 전쟁을 개시하여 40여일 만에 5월 1일 승전하였다.[215] 후세인은 은신하였으나, 미군의 레드 던 작전(Operation Red Dawn)으로 다우르에서 같은 해 12월 13일 체포되었다.[215]
전범재판인 2006년 11월 5일 1심에서 시아파 무슬림 학살에 대한 유죄가 인정되어 사형 (교수형)을 선고받았으며, 후세인은 "나는 사형당하는 것이 절대 두렵지 않다. 이란과 손잡으면 안되며, 경계해야 한다." 고 말하였다. 이후 항소했으나 이라크 최고 항소법원은 사형을 확정하여 2006년 12월 30일 수도 바그다드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그의 처형 장면을 담은 동영상이 인터넷에 유포되기도 했다. 그의 처형으로 인해 저항세력 계파 중 하나인 후세인 지지파들의 반발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미국과의 2차 전쟁'''
2001년 9월 11일, 미국 동시다발 테러가 발생했다. 9·11 테러에 대해 사담 후세인은 연설에서 "미국이 스스로 초래한 결과다"라며 테러를 비난하지 않고, 오히려 과거 미국의 중동 정책에 원인이 있다고 비판했다.[378]
2002년 1월,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를 이란, 북한과 함께 악의 축 국가라고 비판했다.[209]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정권은 10년 넘게 탄저균, 신경가스, 핵무기를 개발하려고 음모를 꾸며왔다... 이라크는 미국에 대한 적대감을 계속해서 과시하고 테러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209][210]
2003년 3월 20일,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은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폐기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다는 명분을 내세워 이라크 전쟁을 시작했다.[215] 4월 9일, 바그다드가 함락되면서, 피르두스 광장에 있던 후세인 동상이 무너지는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고, 후세인 정권은 완전히 전복되었다.[219][215]
이후 사담 후세인은 도주하여 은신 생활을 이어갔다.[349] 2003년 7월, 그의 아들들인 우다이와 쿠사이 그리고 14세 손자 무스타파는 모술에서 미군과 3시간 동안의 총격전에서 사망했다.[216][217][218]
'''체포와 재판'''
사담 후세인은 FBI 요원 조지 피로에 의해 심문을 받았다.[225] 12월 14일, 이라크 주둔 미국 민정장관 폴 브레머는 사담 후세인이 티크리트 근처 알다우르의 농가에서 체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221] 그는 덥수룩한 수염과 평소보다 긴 머리를 하고 있었다.[221]
2004년 6월 30일, 크로퍼 캠프에서 미국군에 구금 중이던 사담 후세인은 다른 11명의 바트당 지도자들과 함께 이라크 과도 정부에 인도되어 반인륜 범죄 및 기타 범죄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다.
수 주 후, 그는 1982년 두자일 학살 혐의로 이라크 특별재판소에 의해 기소되었다.[227][228]
재판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었다.
- 사담과 그의 변호인들은 법원의 권한에 이의를 제기하고 자신이 여전히 이라크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229]
- 사담의 변호인들 중 여러 명이 암살당하거나 암살 미수를 당했다.
- 재판 중반에 수석 재판장이 교체되었다.
2006년 11월 5일, 사담 후세인은 반인륜 범죄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 교수형을 선고받았다.[230]
'''처형'''
2006년 12월 30일 수도 바그다드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그는 사형 집행 방식으로 총살을 원했으나(이라크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군 지위를 들어 합법적인 군사 사형이라고 주장했다)[232], 이라크 바그다드 북동부 카디미야(Kadhimiya) 지역에 있는 이라크군 기지인 캠프 저스티스(Camp Justice)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231]
사형 집행 장면이 휴대전화로 촬영되었고, 사담 후세인을 감시하던 자들이 그를 모욕하는 소리가 녹음되었다. 이 영상은 몇 시간 내에 전자 매체에 유출되어 인터넷에 게시되었고, 전 세계적인 논란이 되었다.[234]
사담 후세인은 사형 집행 중 마지막 말을 남겼다. "알라는 무함마드와 그의 가족에게 축복을 내리시고, 그들의 출현을 재촉하시며 그들의 적을 저주하소서." 그러자 군중 중 한 명이 이라크 시아파 성직자 무크타다 알사드르(Moqtada Al-Sadr)의 이름을 반복해서 외쳤다. 사담 후세인은 웃으며 "그것을 남자다움이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말했다. 군중은 "지옥으로 꺼져!"라고 소리쳤다.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라는 지옥으로 말인가!?"라고 응수했다.
사담 후세인은 이슬람의 최후 기도를 낭송하기 시작했다. "나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음을 증언하며, 무함마드가 알라의 사자임을 증언합니다." 군중 중 한 명이 "폭군이 무너졌다!"라고 외쳤다. 사담 후세인은 "알라는 무함마드와 그의 가족에게 축복을 내리시기를"이라고 말했다. 그는 샤하다(shahada)를 한 번 반쯤 낭송했는데, 두 번째 샤하다에서 '무함마드'라고 말하려는 순간 함정문이 열리면서 말을 중단했다. 밧줄이 그의 목을 꺾어 순식간에 그를 죽였다.[237]
사담 후세인은 2006년 12월 31일 이라크 티크리트의 그의 출생지 알아우자(Al-Awja)에 매장되었다. 그는 그의 아들 우다이와 쿠세이 후세인으로부터 3 km 떨어진 곳에 매장되었다.[240]
'''사후'''
사담 후세인의 시신은 고향인 티그리트 근처에 매장되었으며, 일부 수니파들은 그를 추앙하며 과도정부에 대항하였다. 많은 아랍인들은 사담을 서구 제국주의, 팔레스타인 점령, 그리고 지역에 대한 외세 개입에 맞섰던 진정한 지도자로 칭찬하는 반면, 많은 이라크인들, 특히 시아파와 쿠르드족들은 그를 잔혹한 권위주의, 억압, 불의에 책임이 있는 독재자로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279]
아랍 세계에서는 특히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그의 지지로 사담이 높이 평가된다.[307] 팔레스타인 칼킬리야에는 사담을 기리는 기념관이 세워졌다.[308][309][310]
그의 통치에대해서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혼재한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정부는 도로, 다리, 공공 건물과 같은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규모로 투자했다.[291][292] 교육과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중점을 두었으며,[293][294][295] 정부는 학교와 병원 건설에 투자했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라크의 문맹률은 크게 감소했다.[296][297][298] 이라크 여성의 권익 신장을 목표로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299] 여성들은 교육과 노동에 참여하도록 장려되었고, 많은 여성들이 정부와 공공 기관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다.[300][301][302]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억압적인 전체주의 지도자였다는 비난과,[124][280][281] 그의 정권은 광범위한 감시, 고문, 그리고 사법적 살인을 포함한 억압적인 전술로 악명이 높았다.[282][283] 인권 단체들은 그의 정부가 저지른 수많은 인권 침해 사례를 기록했다.[284] 사담의 정권은 폭력, 협박, 검열을 결합하여 정치적 반대와 반대 의견을 억압했고,[283]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는 심각하게 제한되었고, 정치적 반대자들은 종종 처형되거나 투옥되었다.[285] 그는 이란-이라크 전쟁, 쿠웨이트 침공, 걸프 전쟁을 포함한 세 차례의 군사 분쟁을 일으켰다.[286] 이러한 행동은 상당한 인명 피해를 야기하고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287]
사담 후세인(サッダーム・フセイン일본어)의 시신은 사형 집행 후 고향인 아우자(アウジャ) 마을의 모스크(モスク)에 매장되었다.
4. 1. 미국과의 2차 전쟁
2001년 9월 11일, 미국 동시다발 테러가 발생했다. 9·11 테러에 대해 사담 후세인은 연설에서 "미국이 스스로 초래한 결과다"라며 테러를 비난하지 않고, 오히려 과거 미국의 중동 정책에 원인이 있다고 비판했다.[378] 동시다발 테러 이후 미국은 알 카에다를 지원하고 있다는 이유로 사담 후세인 정권의 이라크에 강경 자세를 취하기 시작했다.[377]2002년 1월,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를 이란, 북한과 함께 악의 축 국가라고 비판했다.[209] 부시 대통령은 대량살상무기의 위협 때문에 이라크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210]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 정권은 10년 넘게 탄저균, 신경가스, 핵무기를 개발하려고 음모를 꾸며왔다... 이라크는 미국에 대한 적대감을 계속해서 과시하고 테러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209][210]
2002년부터 2003년 3월까지 이라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441호에 따른 유엔 무기사찰단의 전면 사찰을 받았다.[211] 사담 후세인은 한스 블릭스가 이끄는 유엔 무기 사찰단이 이라크로 돌아오도록 허용했다.[211] 2002년 11월부터 시작된 재개된 사찰에서 블릭스는 대량살상무기 비축량을 발견하지 못했고, 결의 1441호에서 요구한 것처럼 "적극적"이지만 항상 "즉각적"이지는 않은 이라크의 협조를 언급했다.[212]
2003년 3월 20일,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은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폐기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다는 명분을 내세워 이라크 전쟁을 시작했다.[215] 개전 첫날, 사담 후세인은 국영 TV를 통해 자신의 건재함을 알리는 연설을 했으나, 평소와 다른 모습에 대역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349]
전쟁 시작 후 3주 만에 이라크 정부와 군대는 붕괴되었다.[215] 4월 초까지 연합군은 이라크 대부분을 점령했다.[215] 4월 9일, 바그다드가 함락되면서, 피르두스 광장에 있던 후세인 동상이 무너지는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고, 후세인 정권은 완전히 전복되었다.[219][215]
이후 사담 후세인은 도주하여 은신 생활을 이어갔다.[349] 그는 지지자들에게 둘러싸인 바그다드 교외에서 그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지는 비디오에 마지막으로 등장했다.[215] 2003년 7월, 그의 아들들인 우다이와 쿠사이 그리고 14세 손자 무스타파는 모술에서 미군과 3시간 동안의 총격전에서 사망했다.[216][217][218]
4. 2. 체포와 재판
2003년 3월 20일, 미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 1441호를 근거로 이라크 전쟁을 개시하여 40여일 만인 5월 1일 승전하였다.[215] 후세인은 은신하였으나, 미군의 레드 던 작전(Operation Red Dawn)으로 다우르에서 같은 해 12월 13일 체포되었다.[215] 체포 후 사담 후세인은 티크리트 근처 미군 기지로 이송된 후 바그다드 공항 근처 미군 기지로 옮겨졌다.[215]사담 후세인은 FBI 요원 조지 피로에 의해 심문을 받았다.[225] 미국 국가안보기록보관소가 입수하여 공개한 문서에는 미국 구금 중인 사담 후세인과의 FBI 면접 및 대화 내용이 자세히 나와 있다.[220] 12월 14일, 이라크 주둔 미국 민정장관 폴 브레머는 사담 후세인이 티크리트 근처 알다우르의 농가에서 체포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221] 브레머는 구금 중인 사담 후세인의 영상을 공개했다.[221] 그는 덥수룩한 수염과 평소보다 긴 머리를 하고 있었다.[221] 미국 관리들은 그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고 밝혔다.[221] 브레머는 사담 후세인을 재판에 회부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재판 세부 사항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221] 체포 후 사담 후세인과 대화를 나눈 이라크인과 미국인들은 대체로 그가 여전히 자신감 넘치는 태도를 유지하며 자신을 "단호하지만 공정한 지도자"라고 묘사했다고 전했다.[222]
영국 대중지 ''더 선''은 사담 후세인이 흰 속옷을 입고 있는 사진을 1면에 실었다. 미국 정부는 이 사진 공개를 제네바 협약 위반으로 간주하고 조사하겠다고 밝혔다.[223][224]
바그다드 구금 시설의 경비병들은 그를 "Vic"(Very Important Criminal의 약자)이라고 불렀고, 그의 독방 근처에 작은 정원을 가꾸도록 허용했다. 투옥 기간 동안 그는 운동을 하고 개인 정원을 가꿀 수 있었고, 시가를 피우고 독방 마당에서 일기를 썼다.[226]
2004년 6월 30일, 크로퍼 캠프에서 미국군에 구금 중이던 사담 후세인은 다른 11명의 바트당 지도자들과 함께 이라크 과도 정부에 인도되어 반인륜 범죄 및 기타 범죄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다.
수 주 후, 그는 1982년 두자일 학살 혐의로 이라크 특별재판소에 의해 기소되었다.[227][228]
재판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었다.
- 사담과 그의 변호인들은 법원의 권한에 이의를 제기하고 자신이 여전히 이라크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229]
- 사담의 변호인들 중 여러 명이 암살당하거나 암살 미수를 당했다.
- 재판 중반에 수석 재판장이 교체되었다.
2006년 11월 5일, 사담 후세인은 반인륜 범죄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 교수형을 선고받았다.[230] 사담은 "나는 사형당하는 것이 절대 두렵지 않다. 이란과 손잡으면 안되며, 경계해야 한다." 고 말하였다. 항소했으나 이라크 최고 항소법원은 사형을 확정하여 2006년 12월 30일 수도 바그다드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그의 처형 장면을 담은 동영상이 인터넷에 유포되기도 했다. 그의 처형으로 인해 저항세력 계파 중 하나인 후세인 지지파들의 반발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4. 3. 처형
2003년 3월 20일, 미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 1441호를 근거로 이라크 전쟁을 개시하여 40여일 만에 승전하였다. 후세인은 은신하였으나 미군의 레드 던 작전(Operation Red Dawn)으로 다우르에서 2003년 12월 13일 체포되었다.전범재판인 2006년 11월 5일 1심에서 시아파 무슬림 학살에 대한 유죄가 인정되어 사형 (교수형)을 선고받았으며, 후세인은 "나는 사형당하는 것이 절대 두렵지 않다. 이란과 손잡으면 안되며, 경계해야 한다." 고 말하였다. 이후 항소했으나 이라크 최고 항소법원은 사형을 확정하여 2006년 12월 30일 수도 바그다드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 그는 사형 집행 방식으로 총살을 원했으나(이라크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군 지위를 들어 합법적인 군사 사형이라고 주장했다)[232], 이라크 바그다드 북동부 카디미야(Kadhimiya) 지역에 있는 이라크군 기지인 캠프 저스티스(Camp Justice)에서 사형이 집행되었다.[231]
사형 집행 장면이 휴대전화로 촬영되었고, 사담 후세인을 감시하던 자들이 그를 모욕하는 소리가 녹음되었다. 이 영상은 몇 시간 내에 전자 매체에 유출되어 인터넷에 게시되었고, 전 세계적인 논란이 되었다.[234] 그의 처형으로 인해 저항세력 계파 중 하나인 후세인 지지파들의 반발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라크 당국이 성일에 사형을 집행한 것을 비난했다. 알이크바리야(Al-Ikhbariya) 텔레비전 방송국 진행자는 공식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성월과 이드 알아드하 첫날에 판결이 집행된 것에 대한 놀라움과 반감이 있습니다. 이슬람 국가 지도자들은 이 축복받은 날을 존중해야 하며… 깎아내려서는 안 됩니다."[233]
사담 후세인은 사형 집행 중 마지막 말을 남겼다. "알라는 무함마드와 그의 가족에게 축복을 내리시고, 그들의 출현을 재촉하시며 그들의 적을 저주하소서." 그러자 군중 중 한 명이 이라크 시아파 성직자 무크타다 알사드르(Moqtada Al-Sadr)의 이름을 반복해서 외쳤다. 사담 후세인은 웃으며 "그것을 남자다움이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말했다. 군중은 "지옥으로 꺼져!"라고 소리쳤다.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라는 지옥으로 말인가!?"라고 응수했다. 다시 군중 중 한 명이 신을 위해 소리치는 사람들에게 조용히 해달라고 요청했다. 사담 후세인은 이슬람의 최후 기도를 낭송하기 시작했다. "나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음을 증언하며, 무함마드가 알라의 사자임을 증언합니다." 군중 중 한 명이 "폭군이 무너졌다!"라고 외쳤다. 사담 후세인은 "알라는 무함마드와 그의 가족에게 축복을 내리시기를"이라고 말했다. 그는 샤하다(shahada)를 한 번 반쯤 낭송했는데, 두 번째 샤하다에서 '무함마드'라고 말하려는 순간 함정문이 열리면서 말을 중단했다. 밧줄이 그의 목을 꺾어 순식간에 그를 죽였다.[237]
사형 집행 직전 사담 후세인의 변호사들은 그의 마지막 편지를 공개했다.[238] 며칠 후, 사담 후세인의 시신이 카트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이는 두 번째 비공식 영상이 등장했다. 이 영상은 사담 후세인의 목에 큰 구멍이 뚫린 것으로 보아 사형 집행이 잘못 이루어졌다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239] 후에 그의 유해가 안치된 묘소의 경비대장은 사담 후세인이 사형 집행 후 6차례 칼에 찔렸다고 주장했다.[235]
사담 후세인은 2006년 12월 31일 이라크 티크리트의 그의 출생지 알아우자(Al-Awja)에 매장되었다. 그는 그의 아들 우다이와 쿠세이 후세인으로부터 3 km 떨어진 곳에 매장되었다.[240] 그의 묘는 2015년 3월 파괴된 것으로 알려졌다.[241] 파괴되기 전에 수니파 부족 집단이 그의 시신을 안전한 장소로 옮겼다고 알려졌는데, 무슨 일이 일어날지 두려워했기 때문이다.[242]
4. 4. 사후
사담 후세인의 시신은 고향인 티그리트 근처에 매장되었으며, 일부 수니파들은 그를 추앙하며 과도정부에 대항하였다. 많은 아랍인들은 사담을 서구 제국주의, 팔레스타인 점령, 그리고 지역에 대한 외세 개입에 맞섰던 진정한 지도자로 칭찬하는 반면, 많은 이라크인들, 특히 시아파와 쿠르드족들은 그를 잔혹한 권위주의, 억압, 불의에 책임이 있는 독재자로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279]사담 후세인 정권이 무너진 이후 이라크를 다스리던 연합군 임시 당국은 2006년 누리 알말리키 총리 정부에 정권을 이양하였고, 그는 2014년까지 총리로 재임했다. 미군은 2011년 최종적으로 이라크에서 철수하였다.
아랍 세계에서는 특히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그의 지지로 사담이 높이 평가된다.[307] 팔레스타인 칼킬리야에는 사담을 기리는 기념관이 세워졌으며,[308][309][310] 전역에서 많은 초상화와 기타 기념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311][312] 그의 정권 동안 이라크와 인도는 강력한 관계를 공유했으며,[313] 오늘날에도 사담은 인도에서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다.[314] 인도 가수 시두 무세 왈라는 그의 노래 "''밤비하 볼레''"에서 사담을 언급하며 그가 명성이 높은 사람이었다고 말했다. 사담은 1974년 인도 국제 여행 중에 만난 인디라 간디를 존경했다.[315] 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이라크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무장 억압과 안정에 대해 사담을 칭찬했다.[316] 인도 도시 말라푸람 근처 해변은 사담 해변으로 명명되었다. 사담은 여전히 많은 요르단인들에게 사랑받고 있다.[317] 쿠르드 분리주의자들과 긴장된 관계를 맺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담은 그를 지지하는 일부 쿠르드족과 좋은 관계를 발전시켰다.[318] 리비아 정치인이자 리비아 국민 아랍 군 사령관인 할리파 하프타르는 그의 아들에게 사담 후세인의 이름을 따서 사담 하프타르라고 지었다.[319][320][321]
그의 통치에대해서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혼재한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정부는 도로, 다리, 공공 건물과 같은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규모로 투자했다.[291][292] 교육과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중점을 두었으며,[293][294][295] 정부는 학교와 병원 건설에 투자했고,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라크의 문맹률은 크게 감소했다.[296][297][298] 이라크 여성의 권익 신장을 목표로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299] 여성들은 교육과 노동에 참여하도록 장려되었고, 많은 여성들이 정부와 공공 기관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다.[300][301][302] 신앙 운동을 통해 1993년부터 이라크 생활의 모든 부문에서 이슬람에 더 큰 중점을 두었다.[302]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억압적인 전체주의 지도자였다는 비난과,[124][280][281] 그의 정권은 광범위한 감시, 고문, 그리고 사법적 살인을 포함한 억압적인 전술로 악명이 높았다.[282][283] 인권 단체들은 그의 정부가 저지른 수많은 인권 침해 사례를 기록했다.[284] 사담의 정권은 폭력, 협박, 검열을 결합하여 정치적 반대와 반대 의견을 억압했고,[283]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는 심각하게 제한되었고, 정치적 반대자들은 종종 처형되거나 투옥되었다.[285] 그는 이란-이라크 전쟁, 쿠웨이트 침공, 걸프 전쟁을 포함한 세 차례의 군사 분쟁을 일으켰다.[286] 이러한 행동은 상당한 인명 피해를 야기하고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287] 경제 개발 계획도 있었지만, 사담 정권은 또한 관리 부실과 광범위한 부패로 특징지어진다.[288]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라크에 부과된 경제 제재는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악화시켰다.[289]
사담의 문화적 묘사는 다양한 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사담에 대한 세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도 포함된다. 2007년에 개봉된 "사담의 부족"은 사담 후세인과 알-부 나시르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한다. 2008년에는 그의 삶을 바탕으로 한 TV 시리즈인 사담의 집이 방영되었다. 아일랜드 배우 배리 키오건은 2024년에 발표된 사담에 관한 새로운 영화에 출연할 예정이다.[322]
사담 후세인(サッダーム・フセイン일본어)의 시신은 사형 집행 후 고향인 아우자(アウジャ) 마을의 모스크(モスク)에 매장되었다. 매장 후 주민들에 의해 장례식이 치러졌고, 2009년 7월 이라크 정부는 살라후딘 주(サラーフッディーン県) 당국에 집단 참배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362] 2015년 ISIL(イスラーム国)로부터 티크리트(ティクリート) 탈환 작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사담 후세인의 묘가 파괴되었으나, 어느 쪽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는지는 불명확하다.[363] 사담 후세인의 유해는 시아파 민병대나 이라크군 병사에게 발견되어 유린당하는 것을 우려한 지역 부족에 의해, 티크리트 함락 전에 비밀 장소로 이장되었다고 한다. 사담 후세인이 소유했던 호화 유람선 '바스라 브리즈호(バスラ・ブリーズ号)'는 현재 호텔로 용도 변경되었다.[364]
5. 정권 유지
사담 후세인은 반대파 숙청, 공포 정치, 탄압으로 인해 여러 나라로부터 전형적인 독재자로 평가받았다.[365][367][368][369] 특히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 방식을 본보기로 삼았다고 여겨지며, 후세인 체제에는 스탈린주의의 특징이 엿보인다.[365] 쿠르드족 정치가인 마무드 오스만에 따르면, 후세인은 스탈린을 공산주의자라기보다는 민족주의자로 보았으며, 그의 통치 방식을 마음에 들어 했다고 한다.[366] 그러나 후세인의 주치의였던 알라 바시르 박사는 후세인이 존경했던 인물은 스탈린이 아니라 프랑스의 샤를 드골 전 대통령이었다고 증언했다.[366]
후세인 정권하의 이라크에서는 치안기관이 시민사회를 감시하고 반체제적 언동을 적발했다.[367] 총정보국, 총치안국 등 여러 치안 기관은 모든 시민 사회에 침투해 있었으며,[367] 비밀경찰에 의한 감시망은 국민을 공포로 지배하고 서로를 감시, 밀고하는 사회를 형성했다.[367] 1984년 4월 3일 뉴욕 타임스에 인용된 한 유럽 외교관은 "적어도 300만 명의 이라크 국민이 다른 1100만 명을 지켜보고 있다는 느낌이 있다."라고 말했다.[119]
1974년부터 사담의 측근인 타하 야신 라마단이 내부 안보를 담당하는 인민군을 지휘했으며, 이는 정규군의 쿠데타 시도에 대한 대항마 역할을 했다.[120] 인민군 외에도 총정보국은 국가 안보 시스템에서 가장 악명 높은 기관으로, 고문과 암살을 자행하여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120][121]
이라크 사회는 언어, 종교, 민족을 따라 분열되었고, 세속적인 성격의 바트당은 범아랍 이데올로기를 채택했는데, 이는 인구의 상당 부분에 문제가 되었다.[120]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라크는 시아파 신정 국가를 지향하는 세력과 독립을 원하는 쿠르드족으로부터 위협을 받았다.[120] 이러한 위협을 완화하기 위해 사담은 잠재적으로 적대적인 인구에게 특정한 혜택을 제공했지만, 반대 세력에 대해서는 탄압적인 조치를 취했다.[120]
사담 정권은 최소 25만 명의 이라크 국민의 사망을 초래했고,[123] 이란,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124] 휴먼 라이츠 워치와 국제앰네스티는 광범위한 투옥과 고문에 대한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표했다.[124]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사담 후세인 시대에는 107종류의 고문이 이라크 각지의 교도소에서 자행되었다고 한다.[368] 반대로 사담은 이라크의 석유 부를 이용하여 정권 지지자들을 위한 광범위한 후원 시스템을 개발했다.[124]
1979년 7월 22일, 사담 후세인은 바트당 지도자들을 소집하여 당내 제5열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68명의 명단을 공개하고 이들을 숙청했다.[69] 이들은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2명은 사형을 선고받았다.[70][71] 1979년 8월 1일까지 수백 명의 바트당 고위 당원들이 처형되었다.[70][71]
안팔 작전은 이란-이라크 전쟁 중 사담 후세인 정권이 쿠르드족 및 기타 민족을 대상으로 자행한 집단 학살 작전이었다.[155] 1988년 3월 16일, 할라브자에서는 할라브자 학살이 발생하여 3,200명에서 5,000명이 사망하고 7,000명에서 10,0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59][160][161]
5. 1. 독재 체제와 경찰 국가
사담 후세인은 반대파 숙청, 공포 정치, 탄압으로 인해 여러 나라로부터 전형적인 독재자로 평가받았다.[365][367][368][369] 특히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 방식을 본보기로 삼았다고 여겨지며, 후세인 체제에는 스탈린주의의 특징이 엿보인다.[365] 쿠르드족 정치가인 마무드 오스만에 따르면, 후세인은 스탈린을 공산주의자라기보다는 민족주의자로 보았으며, 그의 통치 방식을 마음에 들어 했다고 한다.[366] 그러나 후세인의 주치의였던 알라 바시르 박사는 후세인이 존경했던 인물은 스탈린이 아니라 프랑스의 샤를 드골 전 대통령이었다고 증언했다.[366]후세인 정권하의 이라크에서는 치안기관이 시민사회를 감시하고 반체제적 언동을 적발했다.[367] 총정보국, 총치안국 등 여러 치안 기관은 모든 시민 사회에 침투해 있었으며,[367] 비밀경찰에 의한 감시망은 국민을 공포로 지배하고 서로를 감시, 밀고하는 사회를 형성했다.[367] 1984년 4월 3일 뉴욕 타임스에 인용된 한 유럽 외교관은 "적어도 300만 명의 이라크 국민이 다른 1100만 명을 지켜보고 있다는 느낌이 있다."라고 말했다.[119]
1974년부터 사담의 측근인 타하 야신 라마단이 내부 안보를 담당하는 인민군을 지휘했으며, 이는 정규군의 쿠데타 시도에 대한 대항마 역할을 했다.[120] 인민군 외에도 총정보국은 국가 안보 시스템에서 가장 악명 높은 기관으로, 고문과 암살을 자행하여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120][121]
이라크 사회는 언어, 종교, 민족을 따라 분열되었고, 세속적인 성격의 바트당은 범아랍 이데올로기를 채택했는데, 이는 인구의 상당 부분에 문제가 되었다.[120]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라크는 시아파 신정 국가를 지향하는 세력과 독립을 원하는 쿠르드족으로부터 위협을 받았다.[120] 이러한 위협을 완화하기 위해 사담은 잠재적으로 적대적인 인구에게 특정한 혜택을 제공했지만, 반대 세력에 대해서는 탄압적인 조치를 취했다.[120]
사담 정권은 최소 25만 명의 이라크 국민의 사망을 초래했고,[123] 이란,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124] 휴먼 라이츠 워치와 국제앰네스티는 광범위한 투옥과 고문에 대한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표했다.[124] 국제앰네스티에 따르면, 사담 후세인 시대에는 107종류의 고문이 이라크 각지의 교도소에서 자행되었다고 한다.[368] 반대로 사담은 이라크의 석유 부를 이용하여 정권 지지자들을 위한 광범위한 후원 시스템을 개발했다.[124]
1979년 7월 22일, 사담 후세인은 바트당 지도자들을 소집하여 당내 제5열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68명의 명단을 공개하고 이들을 숙청했다.[69] 이들은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2명은 사형을 선고받았다.[70][71] 1979년 8월 1일까지 수백 명의 바트당 고위 당원들이 처형되었다.[70][71]
안팔 작전은 이란-이라크 전쟁 중 사담 후세인 정권이 쿠르드족 및 기타 민족을 대상으로 자행한 집단 학살 작전이었다.[155] 1988년 3월 16일, 할라브자에서는 할라브자 학살이 발생하여 3,200명에서 5,000명이 사망하고 7,000명에서 10,0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159][160][161]
5. 2. 개인 숭배
사담 후세인이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이라크에는 그의 개인 숭배가 강화되었다.[370] 이라크 전역에는 그의 거대한 조각상, 동상, 초상화 및 포스터가 세워졌고, 이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직공이 있을 정도였다. 심지어 이라크 인구보다 사담의 동상과 포스터가 더 많다는 농담까지 나돌았다.[370] 국영 TV는 매일 사담을 찬양하는 노래와 시를 방송했고, 그를 찬양하는 노래는 200가지에 달했다.[370]
사담은 자신을 메소포타미아나 고대 아랍의 영웅들인 네부카드네자르 2세, 함무라비, 하룬 알 라시드를 이은 위대한 지도자라고 주장하였다.[370] 심지어 위조로 여겨지는 가계도를 내세워 예언자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라의 자손이라고 선전하기도 했다.[370] 바빌론 유적 입구에는 사담 후세인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초상화가 배치되었고, "네부카드네자르의 아들인 사담 후세인이 이라크를 기리기 위해 건설했다"라는 비문이 새겨졌다.[371] 그는 바빌론에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북궁 유적 근처에 자신의 궁전을 건설하기도 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바트당 정권은 공식적으로 쿠르드족 무슬림 지도자 살라딘을 이라크의 애국적 상징으로 포함시켰다.[271] 사담은 자신을 바빌로니아 왕 네부카드네자르의 아들이라고 자칭하고 고대 바빌론의 벽돌에 자신의 이름과 칭호를 새겼다.[271][272]
사담 후세인이 추구한 정치 사상과 정치는 사담주의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이념은 그의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고 그의 아들 우다이 후세인이 소유한 이라크 일간 신문 바빌에 의해 홍보되었다.[267] 사담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이라크 민족주의와 아랍 민족주의를 결합한 이중 민족주의 사상을 장려했다.[268]
그는 1995년과 2002년에 두 차례의 가짜 선거를 치렀다. 1995년 국민투표에서 그는 99.96%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2002년 10월 15일 국민투표에서는 100%의 찬성표와 100%의 투표율을 달성했다.[274][275][276] 그의 동상은 그의 몰락 후 이라크인들에 의해 무너졌다.[277][278]
5. 3. 이라크의 현대화
사담 후세인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라크의 세속화를 추진하고 현대 국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373][374]1972년,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 석유 부문을 장악하고 있던 국제 석유 이익을 국유화했다.[61] 이는 오랜 기간 외국계 회사에 의해 독점되어 온 석유 이권을 국가로 되돌린 조치였다. 1973년 석유 위기로 세계 석유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라크의 석유 수입은 크게 증가했고, 1980년에는 1968년에 비해 50% 성장한 260억 달러에 이르렀다.[373][374]
이러한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바트당 정권은 이라크의 사회주의화, 현대화, 국유화,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는 제3차, 제4차 5개년 계획을 추진했다.[373][374] 소련,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일본 등으로부터 산업 시설 건설 및 기술 전문가, 노동자 파견을 요청하여 전국적인 통신망 및 전기망을 정비했다.[373][374] 토지개혁을 통해 농업 기계화와 농지 분배를 추진하고, 최신식 농기구를 제공하여 국유지의 70%를 자영농에게 분배했다. 소련의 협력으로 모술 댐(구 사담 댐)과 하디사 댐을 건설하는 등 수리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373][374] 이러한 정책으로 1970년대 후반 이라크 인구는 35% 증가했고, 국영 부문의 GDP 비율은 1972년 35.9%에서 1977년 80.4%로 증가했다.[373][374]

사담 후세인은 교육 및 문맹 퇴치에도 힘썼다. "문맹 퇴치 국가 캠페인"과 "이라크 의무 무상 교육 캠페인"을 설립하고, 최고 교육 수준까지 무상 교육을 실시하여 수십만 명이 읽고 쓰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59][60] 1977년부터 대규모 문맹 퇴치 캠페인을 전개하여 이라크의 문맹률을 낮춘 공로로 1980년대에 유네스코상을 수상했다.[373][374]
여성 해방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성별에 따른 임금 및 고용 차별을 법으로 금지하고, 가족법 개정을 통해 일부다처제를 금지했으며, 여성의 약혼 자유와 이혼 권리를 인정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을 장려하여 여성 공무원이 증가하고 군 입대도 가능하게 되었다.[373][374]
또한 사회보장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장애인에게 재정 지원을 제공하고, 의료 보험 제도를 통해 국민들이 의료 서비스와 의약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85][86]
그러나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 전쟁, 유엔 제재 등으로 인해 이러한 성과는 사라졌고, 계획경제 방침 고수 등으로 경제는 어려움을 겪었다.[373][374]
6. 중동 권력 지도의 변화
사담 후세인은 중동에서 이라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를 원했다.[128] 시아파가 다수파인 이란, 이라크, 바레인 등과는 달리, 아랍 세계 국가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이집트는 수니파가 다수이다. 이라크는 인구의 다수가 시아파임에도 불구하고, 수니파 지도자인 사담 후세인이 시아파를 억압하며 통치했다. 소련과 냉전시대에 관계가 돈독했던 이란은 시아파 국가이며, 이라크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후세인은 미국의 지원 하에 소련과 연합한 이란에 맞서 이라크를 발전시켰으나, 미국과의 반목으로 실각하여 처형되었다.
후세인은 교수형 직전 이란과의 협력에 반대하며 이라크의 단결을 당부했다. 그는 시아파 마을을 방문했을 때 시아파 반군의 습격을 받자, 그 보복으로 마을 청년 전원을 살해한 사건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사담 후세인은 1960년대부터 러시아 정보기관 요원 예브게니 프리마코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프리마코프는 1991년 사담 후세인이 권좌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125] 이라크는 1972년 소련과 원조 조약을 체결했고, 무기와 수천 명의 고문들이 파견되었다.[129] 그러나 1978년 이라크 공산당에 대한 탄압과 서방으로의 무역 전환은 이라크와 소련의 관계를 악화시켰다.[129]
사담 후세인은 서구 국가 중 스페인과 프랑스를 방문했다. 1974년 12월,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초청으로 마드리드를 방문했다.[126] 1975년 9월에는 파리에서 자크 시라크 총리와 만났다.[127] 일부 이라크 지도자들과 레바논 무기상 사르키스 소가날리안 등은 사담 후세인이 시라크의 정당에 자금을 지원했다고 주장하며, 1991년 사담 후세인은 자신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사람들을 폭로하겠다고 위협했다.[127] 프랑스는 사담 후세인에게 무기를 공급했으며, 사담 후세인 통치 기간 내내 이라크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였다.[127]
1973년 석유 위기 이후, 프랑스는 친 아랍 정책으로 전환했고, 사담 후세인은 프랑스와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29] 그는 1975년 프랑스를 국빈 방문하여 일부 프랑스 기업 및 여당 정치권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29] 1980년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이라크의 우라늄 농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31] 오시라크라고 명명된 이라크의 첫 번째 원자로는 1981년 6월 7일 이스라엘 공군의 오페라 작전으로 파괴되었다.[131]
이라크는 1977년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의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상을 비판한 후 이집트와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1978년 바그다드는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수용한 이집트를 비난하고 배척한 아랍연맹 정상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집트의 지원은 양국 관계를 완화시켰다. 1983년 이후 이라크는 아랍 국가들 사이에서 이집트의 "자연스러운 역할" 회복을 거듭 촉구했다.
1920년 건국된 이래 이라크는 북부 지역의 쿠르드족 분리주의자들과 싸워왔다.[130] 1970년 사담 후세인은 쿠르드족 지도자들과 자치권 부여 협정을 맺었지만 결렬되었다.[130] 1975년 이란과의 조약 체결 후, 샤는 쿠르드족에 대한 지원을 철회했고, 쿠르드족은 패배했다.[130]
사담 후세인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헌신과 반이스라엘 입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132] 2000년 5월, 사담 후세인과 그의 대표자들은 이스라엘 정부와 비밀 회담을 가졌고, 이스라엘이 레바논의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를 해결한다면 이라크가 반이스라엘 외교 정책을 종식시킬 것을 제안했다.[132] 2002년 아랍연맹 정상회의는 베이루트에서 열렸으며, 아랍 평화 구상이 제안되었다.[137] 이자트 이브라힘 알두리가 이라크 대표로 참석하여 이 계획에 반대하지 않았으며, 이 회의에서는 이라크에 대한 어떠한 공격도 거부했다.[137][138]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의 석유 수입으로 팔레스타인 희생자와 무장 세력의 가족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139] 제2차 인티파다 발생 후, 예루살렘 군대를 창설하여 시온주의 운동에 맞서 지하드를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썼다.[134][136] 그는 팔레스타인인들에게 }|yes|€|€}}}}}10억을 기부하여 봉기를 지원했다.[140]
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 후, 미국의 점령 정책 실패와 이라크 정부의 무능으로 인해 종파 갈등이 내전 상태로 이어졌다. 시리아 내전의 영향으로 ISIL이 유입되어 이라크 정부군, 쿠르드족, 시아파 민병대와 충돌했다. 사담 후세인의 최측근이었던 이자트 이브라힘의 옛 바트당 잔당인 수니파 세력까지 가세하면서 테러가 빈발하여 치안이 악화되었다. 터키의 정치가 압둘라 귈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가 유고슬라비아 분쟁으로 이어진 것처럼 이라크를 “판도라의 상자”라고 비꼬았다.
7. 가족 관계
사담 후세인은 1958년 이집트 망명 중에 사지다 탈파와 결혼하였으며,[243][244] 두 아들(우다이, 쿠사이)과 세 딸(라나, 라가드, 할라)을 두었다.[243] 사지다는 사담 후세인의 삼촌이자 멘토인 카이랄라 탈파(Khairallah Talfah)의 딸이며, 두 사람은 형제자매처럼 자랐다. 그들의 결혼은 사담이 5살, 사지다가 7살 때 정해졌다.[244]
장남 우다이(1964년 6월 18일~2003년 7월 22일)는 이라크 축구 협회, 사담 페다예인(Fedayeen Saddam) 등을 운영했다. 원래 사담의 총애를 받는 아들이자 후계자로 여겨졌지만, 변덕스러운 행동으로 인해 아버지의 총애를 잃었다. 차남 쿠사이(1966년 5월 17일~2003년 7월 22일)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사담의 총애를 받는 아들이었으며, 정예 이라크 공화국 경비대(Iraqi Republican Guard)와 이라크 특수 보안 기구(SSO)를 이끌었다. 그는 아버지 다음으로 군부의 2인자였다.[375] 우다이와 쿠사이는 2003년 7월 22일 모술에서 열화우라늄탄에 맞아 사살되었다.[375]
장녀 라가드(1968년)는 2003년 이라크 침공 후 요르단 암만(Amman)으로 탈출하여 왕실로부터 보호를 받았다.[245][246] 차녀 라나(1969년)역시 요르단으로 탈출하여 아버지의 권리를 옹호해왔다. 삼녀 할라(1972년)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247]
1986년에는 사미라 샤반다르와 재혼하였으며,[243] 이 후 니달 알함다니와 세 번째 결혼을 하였다.[253] 사미라는 아들 알리를 낳았다고 알려졌으나 그의 존재는 사담의 가족에 의해 반복적으로 부인되었다.[252] 와파 뮬라 후와이시(Wafa Mullah Huwaysh)는 2002년 사담 후세인의 네 번째 부인이 되었다는 소문이 있으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실부 후세인 알-마지드는 사담 후세인의 여동생 시함 후세인 알-마지드 출생 후 행방불명되었다. 어머니 수브하 틸파르는 농가 출신으로 점쟁이로 생계를 유지했다.
8. 기타
사담 후세인은 1968년 바트당 쿠데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군인은 아니었다.[380] 평소 의심이 많던 그는 두 명의 사위를 처형했고, 딸 중 한 명은 남편의 처형에 반발하여 이라크 탈출을 기도하기도 했다.
1979년,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성심 칼데아 교회(Sacred Heart Chaldean Church)의 제이콥 야소(Jacob Yasso)는 사담 후세인의 대통령 취임을 축하했고, 후세인은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교회에 25만 달러를 기부했다.[255] 1980년, 디트로이트 시장 콜먼 영(Coleman Young)은 야소가 후세인에게 디트로이트 시의 열쇠를 전달하도록 허락했으며, 후세인은 칼데아 성심 교회에 20만 달러를 추가로 기부했다.[255] 야소는 후세인이 전 세계 칼데아 가톨릭 교회에 기부했으며, "그는 기독교인들에게 매우 친절하다"고 언급했다.[255] 칼데아 기독교인들과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사담 후세인은 미국 전역의 칼데아 교회와 기관들에 많은 기부를 했다.[98]
1991년, 이라크 정부는 사담 후세인에게 이라크 최고 훈장인 라피다인 훈장(Order of the Two Rivers, 두 강의 훈장)을 수여하며 그의 "역사적 역할"과 "이라크에 대한 고귀한 봉사"를 인정했다.[256][257] 이 훈장은 사담 후세인의 54번째 생일에 이라크에 대한 그의 뛰어난 공헌과 중요한 영향력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수여되었다.[256]
사담 후세인은 "원수" 및 "동지"와 같은 칭호를 받았으며, 디트로이트 시의 열쇠를 받은 인물 중 한 명이다.[255][258] 그는 바트 정부를 이끌며 이라크를 의료 및 교육의 중심지로 만들었고, 이는 이라크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260][261] 이러한 공로로 유네스코로부터 상을 받기도 했다.[262]
그는 여러 개의 훈장을 받았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 있는 박물관에 전시되었다.[263] 극히 드물게 수여되는 공훈훈장(Order of Merit, Wisam al-Jadara)을 받았으며,[264] 1991년 걸프 전쟁에서의 역할에 대해 전투의 어머니 훈장(Order of the Mother of Battles)을 받았다.[265]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1948년~1949년), 쿠르드족 반란 진압, 7월 14일 혁명(1963년), 7월 17일 혁명(1968년), 시리아와의 협력, 1970년 평화, 그리고 1973년 이스라엘과의 전쟁에 대한 훈장도 받았다.[266]
사담 후세인은 소설 4편과 여러 편의 시를 저술했다. 익명으로 발표된 소설로는 『왕과 정부인』(2000년), 『난공불락의 요새』(2001년)가 있으며, 『남자들과 도시』(2002년)와 『악마의 춤』(2002~2003년경)도 저술했다.
사담 후세인의 전체 이름은 '''사담 후세인 알-마지드 알-티크리티'''(아랍어:صدام حسين المجيد التكريتي, 영어:Saddam Husayn al-Majid al-Tikriti)이며, "티크리트 출신 마지드 가문의 후세인의 아들 사담"으로 해석된다. 현지에서는 알-티크리티를 뺀 사담 후세인 알-마지드도 많이 사용된다. 나사브 형식에서는 사담 이븐 후세인 이븐 마지드 알-티크리티(صدام بن حسين بن مجيد التكريتي) 등으로 표기되며, 본인의 이름은 사담, 아버지는 후세인, 할아버지는 마지드이다. 할아버지 이름은 압둘 마지드(عبد المجيد, Abd al-Majid 또는 Abdulmajid)로 표기되기도 한다.
많은 이라크 사람들의 이름에는 다른 아랍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서구나 일본식 인명 관습에서 말하는 명확한 "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어 문맥에서 그의 이름을 줄여 부르는 경우, "후세인", "후세인 대통령"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지만, "후세인"은 그의 아버지 이름이다. 그러나 아랍 세계에서는 대통령급 공인이 되면 전체 이름보다 짧은 통칭으로 불리는 경향이 있어, 그의 경우에도 "후세인 대통령", "후세인 정권"으로 기록되는 경우가 있다.
후세인의 아랍어 문어(푸스하) 발음은 "후사인"이지만, 이라크 방언 발음은 "후세인"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현지 발음을 따라 "후세인"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조
[1]
서적
Saddam: The Secret Life
Pan Books
[2]
웹사이트
Statesmen and stature: how tall are our world leaders?
https://www.theguard[...]
2024-12-10
[3]
뉴스
Do rewards help capture the world's most wanted men?
https://www.bbc.com/[...]
2024-12-10
[4]
뉴스
Saddam or Mr. Hussein?
https://www.cbc.ca/n[...]
2003-02-01
[5]
간행물
The Arabic Naming System
http://www.councilsc[...]
2005-02-01
[6]
뉴스
Defiant Hussein Rebukes Iraqi Court for Trying Him
https://www.nytimes.[...]
2004-07-02
[7]
백과사전
Saddam Hussein
http://www.britannic[...]
2023-05-29
[8]
웹사이트
Saddam Hussein
https://www.oxfordre[...]
2023-12-17
[9]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10]
서적
“So Let Today Be All the Arabs Muḥammad”: The Prophet in the Discourse of the Iraqi Baʿth Party
https://brill.com/di[...]
Brill
2024-12-15
[11]
웹사이트
In search of Saddam
https://www.aljazeer[...]
2024-12-15
[12]
웹사이트
Saddam Hussein Biography, History, Death, Son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2-15
[13]
논문
Tribe and State in Post-Ba`athist Iraq
https://escholarship[...]
UC Berkeley
2014-01-01
[14]
서적
“So Let Today Be All the Arabs Muḥammad”: The Prophet in the Discourse of the Iraqi Baʿth Party
https://brill.com/di[...]
Brill
2024-12-15
[15]
웹사이트
جريدة الرياض أحمد حسن البكر رجل المقاومة الأول ضد بريطانيا
http://www.alriyadh.[...]
2023-05-23
[16]
웹사이트
The Iraqi Tribes and the Post-Saddam System
https://www.brooking[...]
2023-05-23
[17]
간행물
Saddam Hussein of Iraq: A Political Psychology Profile
1991-06-01
[18]
웹사이트
Not mad, just bad and dangerous
https://www.smh.com.[...]
2024-02-17
[19]
뉴스
The Scribe: Babylonian Jewish Journal
http://www.thescribe[...]
[20]
뉴스
Was a Tyrant Prefigured by Baby Saddam?
https://www.nytimes.[...]
2018-11-21
[21]
뉴스
Saddam's Roots an Abusive Childhood
https://www.washingt[...]
2021-11-08
[22]
웹사이트
Saddam is Iraq: Iraq is Saddam
https://apps.dtic.mi[...]
Maxwell Airforce Base
2021-11-20
[23]
서적
Memories of State: Politics, History, and Collective Identity in Modern Iraq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25]
서적
The Old Social Classes & The Revolutionary Movement in Iraq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서적
Between Memory and Desire: The Middle East in a Troubled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서적
[28]
서적
Understanding Iraq
I.B. Tauris
[29]
서적
Iraq: From Sumer to Saddam
St. Martin's Press
[30]
서적
America and Iraq: Policy-making, Intervention and Regional Politics
Routledge
[31]
웹사이트
Exclusive: Saddam Key in Early CIA Plot
https://www.upi.com/[...]
2018-04-02
[32]
서적
America and Iraq: Policy-making, Intervention and Regional Politics
Routledge
[33]
서적
America and Iraq: Policy-making, Intervention and Regional Politics
Routledge
[34]
서적
Sold Out? US Foreign Policy, Iraq, the Kurds, and the Cold War
Palgrave Macmillan
[35]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36]
서적
Republic of Fear: The Politics of Modern Iraq, Updated E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7]
서적
Saddam: His Rise and Fall
https://archive.org/[...]
Harper Perennial
[38]
서적
The Paranoid Style in American Diplomacy: Oil and Arab Nationalism in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40]
웹사이트
Saddam Hussein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3-05-29
[41]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42]
서적
Iraq Since 1958: From Revolution to Dictatorship
I.B. Tauris
[43]
혼합
Sources regarding U.S. involvement in the 1963 Iraqi coup
[44]
혼합
Sources disputing U.S. involvement in the 1963 Iraqi coup
[45]
서적
The Paranoid Style in American Diplomacy: Oil and Arab Nationalism in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46]
학술지
The Kennedy Administration, Counterinsurgency, and Iraq's First Ba'thist Regime
https://www.cambridg[...]
2011-11-09
[47]
학술지
The Kennedy Administration, Counterinsurgency, and Iraq's First Ba'thist Regime
https://www.cambridg[...]
2011-11-09
[48]
학술지
Embracing Regime Change in Iraq: American Foreign Policy and the 1963 Coup d'etat in Baghdad
https://academic.oup[...]
2015-01-01
[49]
서적
The Paranoid Style in American Diplomacy: Oil and Arab Nationalism in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51]
서적
A History of Iraq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The Old Social Classes and the Revolutionary Movements of Iraq
Princeton
[53]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54]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55]
서적
The other Iraq: pluralism and culture in Hashemite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57]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58]
뉴스
Hussein was a symbol of autocracy, cruelty in Iraq
http://www.cnn.com/2[...]
CNN
2003-12-30
[59]
뉴스
Saddam Hussein
http://www.cbc.ca/ne[...]
CBC News
2006-12-29
[60]
웹사이트
The Iraq War player profile: Saddam Hussein's Rise to Power
https://web.archive.[...]
2013-11-15
[61]
뉴스
Banking in Iraq – A tricky operation
http://www.economist[...]
2004-06-24
[62]
문서
Humphreys
[63]
뉴스
Scars that won't heal: Iraq recognises Fayli Kurd persecution as 'genocide'
http://ekurd.net/mis[...]
2017-05-23
[64]
뉴스
Iraqi Kurds Seek Recognition of Genocide by Saddam
http://www.al-monito[...]
2017-05-23
[65]
웹사이트
An Aliyah to Iraq: Transgressive Migrations between Israel and the Arab World
http://perspectives.[...]
2024-11-10
[66]
서적
A History of Iraq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Socialist Iraq
The Middle East Institute
[68]
웹사이트
Timeline: Iran-Arab relations
https://www.aljazeer[...]
2024-03-21
[69]
Youtube
A Documentary on Saddam Hussein 5
[70]
뉴스
When Saddam ruled the day
https://www.usnews.c[...]
U.S. News & World Report
2004-07-11
[71]
웹사이트
The Thief of Baghdad
https://web.archive.[...]
1990-09-27
[72]
Youtube
Iraqi Ambassador Mohamed Sadeg al-Mashat speaks about Kurdish Autonomy
https://www.youtube.[...]
1990
[73]
논문
Iraq and Kurdish Autonomy
https://www.jstor.or[...]
1974
[74]
문서
The Kurds in Post-Saddam Iraq
https://sgp.fas.org/[...]
2010-10-01
[75]
뉴스
Saddam Hussein's former vice-president dies in Amman from cancer at 80
https://www.google.c[...]
2009-08-09
[76]
뉴스
Saddam Hussein's former vice-president dies in Amman from cancer at 80
https://www.google.c[...]
2009-08-09
[77]
웹사이트
Armenians During Saddam Reign
https://keghart-org.[...]
2024-12-05
[78]
서적
The Armenian Diaspora
St. Martin's Press
1997
[79]
서적
The Armenian Diaspora
St. Martin's Press
1997
[80]
서적
Saddam Hussein: An American Obsession
Verso
2002
[81]
문서
President Saddam Hussein patronises the illiteracy eradication campaign
https://unesdoc.unes[...]
UNESCO
1980
[82]
뉴스
Iraqi's must learn to read! or else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1979
[83]
논문
The Mobilization of Iraqi Women into the Wage Labor Force
1982
[84]
웹사이트
Why women are less free 10 years after the invasion of Iraq
https://edition.cnn.[...]
2013-03-18
[85]
웹사이트
Evolution of Disability Rights in Iraq
https://commons.lib.[...]
2015
[86]
웹사이트
Health services in Iraq
https://www.ed.ac.uk[...]
2013
[87]
웹사이트
Iraq's Public Healthcare System in Crisis
https://enablingpeac[...]
[88]
웹사이트
Iraq's economy: Past, present, future
https://reliefweb.in[...]
2003-06-03
[89]
웹사이트
Iraq's economy: Old obstacles and new challenges
https://www.ispionli[...]
[90]
웹사이트
Iraq – Oil, Agriculture, Trade
https://www.britanni[...]
[91]
논문
The Iraqi Economy under Saddam Hussein: Development or Decline.
https://go.gale.com/[...]
2003-06-22
[92]
웹사이트
Palaces of Saddam Hussein
https://www.rockyroa[...]
2020-07-16
[93]
웹사이트
Saddam Hussein's legacy of sectarian division in Iraq
https://theworld.org[...]
2016-07-31
[94]
뉴스
Taha Yassin Ramadan
https://www.theguard[...]
2007-03-21
[95]
웹사이트
المرحوم د. سعدون حمادي مفخرة رائعة من مفاخر العراق وذكرياتي معه في معتقل '' كروبر '' بالمطار
https://www-thiqar-n[...]
[96]
웹사이트
المرحوم د. سعدون حمادي مفخرة رائعة من مفاخر العراق وذكرياتي معه في معتقل '' كروبر '' بالمطار
https://www-thiqar-n[...]
[97]
웹사이트
Why Did Assad, Saddam and Mubarak Protect Christians?
https://www.pbs.org/[...]
2011-10-14
[98]
웹사이트
Saddam Hussein Helped Detroit Church, Got Key to City
https://www.foxnews.[...]
2015-03-25
[99]
웹사이트
Vatican's Ambassador During Iraq War: Under Saddam Hussein 'the Church Was Respected'
https://www.ncregist[...]
2023-03-21
[100]
뉴스
STANDOFF IN THE GULF; Synagogue's Keeper Tells of Standing Watch for Baghdad's Dwindling Jewish Remnant
https://www.nytimes.[...]
1990-12-12
[101]
웹사이트
Once thriving, Iraq's Jews on verge of vanishing
https://amwaj.media/[...]
[102]
웹사이트
In Iraq, respect for the Jews Baghdad: A tiny minority that has seen good days and bad is treated well under Saddam Hussein.
https://www.baltimor[...]
1998-11-13
[103]
웹사이트
Jew Credits Hussein for His Prison Release : Iraq: The Baghdad street vendor from whom Naim Twaina bought cigarettes later came to power and ordered him freed.
https://www.latimes.[...]
1991-02-20
[104]
웹사이트
History
https://rememberbagh[...]
[105]
웹사이트
اليهود في التشريعات العراقية – كتابات
https://kitabat-com.[...]
[106]
웹사이트
أصداف: يهود العراق يعيشون الحرب والحصار
https://alwatan-om.t[...]
2018-12-21
[107]
뉴스
The Scribe: The Babylonian Jewish Journal
http://www.dangoor.c[...]
1988-10-01
[108]
웹사이트
THREE DOZEN IRAQI JEWS FEARFUL FOR THEIR SAFETY
https://www.sun-sent[...]
2003-05-13
[109]
웹사이트
CNN - Palestinian kills 4 in Baghdad synagogue - October 4, 1998
http://edition.cnn.c[...]
[110]
웹사이트
My Honorary Work for the Jewish Community of Iraq
http://www.dangoor.c[...]
[111]
웹사이트
http://www.dangoor.c[...]
[112]
웹사이트
Fall of Saddam unnerves Iraqi Jews
https://www.thetimes[...]
2024-08-16
[113]
웹사이트
These Iraqi Gnostics Hold Water Sacred. Jordanian Authorities Won't Let Them Near a River.
https://indypendent.[...]
[114]
웹사이트
الگاردينيا - مجلة ثقافية عامة - "الصابئة المندائية عراقيون، منهم العلماء.. والشعراء والمهنيين والصاغة، كيف كانوا واين اصبحوا!؟"
https://www.algarden[...]
[115]
웹사이트
Genocide in Iraq? A Political History of the Yazidis and Mandaeans
https://towardfreedo[...]
2014-01-01
[116]
웹사이트
Saddam pledges to construct temples for the Mandaean peoples.
https://web.archive.[...]
HRWF
[117]
웹사이트
The Plight of Iraq's Mandeans – Mandaean Associations Union – اتحاد الجمعيات المندائية
https://www.mandaean[...]
[118]
뉴스
Jordan's Mandaean minority fear returning to post-ISIS Iraq
https://www.thenatio[...]
The National
2018-01-01
[119]
서적
Republic of Fear: The Politics of Modern Iraq, Updated E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0]
간행물
Iraq: A Country Study: Internal Security in the 1980s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1988-01-01
[121]
웹사이트
U.S. Relations With Anti-Saddam Groups
https://fpc.state.go[...]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122]
뉴스
Saddam Hussein – The blundering dictator
http://www.economist[...]
2007-01-04
[123]
웹사이트
War in Iraq: Not a Humanitarian Interventio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4-01-25
[124]
학술지
Aaron M. Faust, ''The Ba'thification of Iraq: Saddam Hussein's Totalitarianism'' [Book Review]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2-01
[125]
뉴스
Saving Saddam – the sequel?
https://web.archive.[...]
The Jamestown Foundation
2003-03-04
[126]
뉴스
Reportaje | El obsequio de Sadam a Franco
https://elpais.com/d[...]
2003-03-02
[127]
학술지
The Chirac Doctrine
http://www.meforum.o[...]
2005-09-01
[128]
뉴스
Iraq Court Sentences Tariq Aziz to Death
https://www.nytimes.[...]
2010-10-26
[129]
간행물
Iraq: A Country Study: The West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1988-01-01
[130]
문서
Humphreys
[131]
웹사이트
1981: Israel bombs Baghdad nuclear reactor
http://news.bbc.co.u[...]
BBC
1981-06-07
[132]
뉴스
Saddam in secret talks with Israel
https://www.theguard[...]
2000-05-21
[133]
서적
Muslim Anti-Semitism: A Clear and Present Danger
[134]
웹사이트
Who Will Fight for Saddam?
https://www.brooking[...]
[135]
웹사이트
Thinking About the History of Militias in Iraq {{!}} Wilson Center
https://www.wilsonce[...]
[136]
뉴스
Saddam calls for jihad against Israel
https://www.theguard[...]
2000-12-25
[137]
뉴스
King of Clubs Izzat Ibrahim al-Douri: Saddam's ally and enforcer
https://www.bbc.com/[...]
2015-04-17
[138]
웹사이트
CNN.com - Arab summit rejects any attack on Iraq - March 28, 2002
https://edition.cnn.[...]
[139]
웹사이트
Palestinians mourn fall of their hero Saddam after flow of dollars for
https://www.independ[...]
2003-05-06
[140]
웹사이트
Iraq pledges Palestinians billion euros from oil
https://gulfnews.com[...]
2000-12-10
[141]
뉴스
Saddam chokes off oil to put pressure on west
https://www.theguard[...]
2024-08-18
[142]
서적
Wars and Peace Treaties: 1816 to 1991
[143]
웹사이트
Iran-Iraq War – Summary, Timeline & Legacy
https://www.history.[...]
2024-02-14
[144]
서적
Cold War in the Islamic World: Saudi Arabia, Iran and the Struggle for Supremac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2-01
[145]
뉴스
Iraq Acknowledges Its Use of Gas But Says Iran Introduced It in War
https://www.nytimes.[...]
2024-02-16
[146]
뉴스
Iraqi Scientist Reports on German, Other Help for Iraq Chemical Weapons Program
https://fas.org/nuke[...]
Al Zaman (London)
2003-12-01
[147]
뉴스
How Saddam Happened
https://web.archive.[...]
2011-08-20
[148]
서적
Becoming Enemies: U.S.-Iran Relations and the Iran-Iraq War, 1979-1988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49]
뉴스
IRAQ ASCRIBES A KEY DEFEAT IN '86 TO MISINFORMATION FROM THE U.S.
https://www.nytimes.[...]
2024-02-17
[150]
뉴스
Confrontation in the Gulf; U.S. Aid Helped Hussein's Climb; Now, Critics Say, the Bill Is Due
https://www.nytimes.[...]
1990-08-13
[151]
웹사이트
Inverse Engagement: Lessons from U.S.-Iraq Relations, 1982–1990
https://web.archive.[...]
U.S. Army
2006-10-12
[152]
웹사이트
SIPRI Database
https://web.archive.[...]
[153]
웹사이트
The Iran-Contra Affair 20 Years On
http://www.gwu.edu/~[...]
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6-11-24
[154]
백과사전
Iran-Iraq War
https://www.britanni[...]
[155]
간행물
The Anfal Campaign Against the Kurd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3
[156]
웹사이트
Iraqi Anfal, Human Rights Watch, 1993
https://hrw.org/repo[...]
Human Rights Watch
[157]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and the Kurds
https://web.archive.[...]
Jafi.org.il
2005-05-15
[158]
뉴스
How Many People Has Hussein Killed?
https://www.nytimes.[...]
2022-02-20
[159]
웹사이트
Saddam's Chemical Weapons Campaign: Halabja, 16 March 1988
https://2001-2009.st[...]
Bureau of Public Affairs
[160]
뉴스
BBC ON THIS DAY | 16 | 1988: Thousands die in Halabja gas attack
https://web.archive.[...]
[161]
뉴스
Halabja, the massacre the West tried to ignore
https://swap.stanfor[...]
[162]
뉴스
Halabja – America didn't seem to mind poison gas
https://www.nytimes.[...]
2003-01-17
[163]
웹사이트
FMFRP 3-203 – Lessons Learned: Iran-Iraq War
http://www.fas.org/m[...]
Fas.org
[164]
서적
A Poisonous Affair: America, Iraq, and the Gassing of Halabj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5]
문서
Humphreys
[166]
웹사이트
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http://www.gwu.edu/~[...]
[167]
뉴스
The true Iraq appeasers
https://www.boston.c[...]
2006-08-31
[168]
뉴스
Iraq Chief, Boasting of Poison Gas, Warns of Disaster if Israelis Strike
https://www.nytimes.[...]
1990-04-03
[169]
뉴스
Iraqi Takes Harsh Line at Meeting
https://www.nytimes.[...]
1990-05-29
[170]
뉴스
Iraq Threatens Emirates And Kuwait on Oil Glut
https://www.nytimes.[...]
1990-07-18
[171]
뉴스
U.S. Deploys Air and Sea Forces After Iraq Threatens 2 Neighbors
https://www.nytimes.[...]
1990-07-25
[172]
뉴스
CONFRONTATION IN THE GULF; Excerpts From Iraqi Document on Meeting With U.S. Envoy
https://www.nytimes.[...]
1990-09-23
[173]
서적
Armed Madhouse
[174]
웹사이트
"Bush to Gorbachev: Choose Between Saddam and the West," by Jay P. Kosminsky and Michael Johns, Heritage Foundation Executive Memorandum #280, 30 August 1990.
https://web.archive.[...]
[175]
서적
Between Memory and Desire: The Middle East in a Troubled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6]
웹사이트
Interrogator Shares Saddam's Confessions
https://www.cbsnews.[...]
2008-01-24
[177]
웹사이트
Saddam's Cash
https://web.archive.[...]
2003-05-05
[178]
서적
Russia, America, and the Cold War
McGraw-Hill
2002
[179]
간행물
Responding to Iraqi Aggression in the Gulf
http://www.gwu.edu/~[...]
The White House
1991-01-15
[180]
서적
The Downing Street Years
1990
[181]
웹사이트
Battle at Rumalia
https://web.archive.[...]
2017-01-09
[182]
웹사이트
Address Before a Joint Session of the Congress on the State of the Union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2017-01-09
[183]
뉴스
2 Mass Graves in Iraq Unearthed
https://www.latimes.[...]
2006-06-05
[184]
뉴스
Iraqi leader's Koran 'written in blood'
http://news.bbc.co.u[...]
2000-09-25
[185]
웹사이트
Iraq surveys show 'humanitarian emergency'
https://web.archive.[...]
2009-11-29
[186]
논문
Truth and death in Iraq under sanctions
2010-09
[187]
논문
Sanctions on Iraq: A Valid Anti-American Grievance?
https://web.archive.[...]
2001-12
[188]
논문
Changing views on child mortality and economic sanctions in Iraq: a history of lies, damned lies and statistics
2017-07-24
[189]
뉴스
Saddam Hussein said sanctions killed 500,000 children. That was 'a spectacular lie.'
https://www.washingt[...]
2017-08-04
[190]
뉴스
Not My Job: Former CIA Officer Robert Baer Gets Quizzed On Bears
https://www.npr.org/[...]
NPR
2015-01-10
[191]
뉴스
The CIA And the Coup That Wasn't
https://www.washingt[...]
2003-05-16
[192]
잡지
Uday's Oil-for-News Program
https://web.archive.[...]
2005-05-16
[193]
웹사이트
Venezuelan President Meets Saddam Hussein
https://abcnews.go.c[...]
2024-07-12
[194]
웹사이트
Venezuelan Leader Meets With Hussein
https://www.latimes.[...]
2000-08-11
[195]
웹사이트
She represented Saddam Hussein, and now 'the Claudia Schiffer of North Africa' is backing her father Muammar Gaddafi
https://www.smh.com.[...]
2011-04-01
[196]
뉴스
Iraq nets handsome profit by dumping dollar for euro
https://www.theguard[...]
2003-02-16
[197]
뉴스
Murders and mutilation in Iraq revealed
https://www.theguard[...]
2000-11-03
[198]
웹사이트
CNN.com - Saddam ends campaign for volunteers to fight Israel - November 10, 2000
http://edition.cnn.c[...]
2024-07-13
[199]
웹사이트
Saddam Gives Defiant Speech - 2001-01-17
https://www.voanews.[...]
2009-10-28
[200]
웹사이트
CNN.com - UK launches Saddam investigation - April 25, 2001
http://edition.cnn.c[...]
2024-07-13
[201]
웹사이트
Remembering Saddam's Birthday: April 28, 2001
https://www.theatlan[...]
2010-04-28
[202]
뉴스
Saddam's army son gets top party seat
https://www.theguard[...]
2001-05-19
[203]
웹사이트
News ∙ President ∙ Events ∙ President of Russia
http://en.kremlin.ru[...]
2001-07-18
[204]
웹사이트
CNN.com - Hussein appeals to Kurds in northern Iraq - July 16, 2001
https://edition.cnn.[...]
2024-07-13
[205]
웹사이트
MI6 made secret plan for anti-Saddam coup in December 2001
https://www.independ[...]
2011-05-12
[206]
뉴스
FORMAT: Staatsanwalt ermittelt gegen Fritz Edlinger
https://web.archive.[...]
2002-10-23
[207]
뉴스
Victim Competition: Antisemitism and the Austrian Left
https://web.archive.[...]
2008-12
[208]
뉴스
UN condemns Iraq on human rights
http://news.bbc.co.u[...]
2002-04-19
[209]
연설
State of the Union
https://georgewbush-[...]
2002-01-29
[210]
뉴스
Full text: State of the Union address
http://news.bbc.co.u[...]
2002-01-30
[211]
뉴스
CNN Transcript of Blix's remarks
http://www.cnn.com/2[...]
CNN
2003-01-27
[212]
웹사이트
UN news briefing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03-03-07
[213]
뉴스
Behind The Scenes With Saddam
https://www.cbsnews.[...]
CBS News
2003-02-24
[214]
뉴스
FBI says Saddam's weapons bluff aimed at Iran
https://www.reuters.[...]
2009-07-02
[215]
웹사이트
Timeline of events: 20 years since U.S.-led invasion of Iraq
https://apnews.com/a[...]
2023-03-17
[216]
뉴스
The last moments of Saddam's grandson
https://www.theguard[...]
2003-07-24
[217]
뉴스
Dead: the sons of Saddam
https://www.theguard[...]
2003-07-23
[218]
웹사이트
Online NewsHour Update: Coalition Says Iraqi Regime Has Lost Control of Baghdad — 9 April 2003
https://www.pbs.org/[...]
PBS
2003-04-09
[219]
뉴스
Smashing statues through the ages
http://www.socialist[...]
[220]
웹사이트
Saddam Hussein Talks to the FBI: Twenty Interviews and Five Conversations with "High Value Detainee # 1" in 2004
https://nsarchive2.g[...]
National Security Archive
2009-07-01
[221]
뉴스
Saddam 'caught like a rat' in a hole
http://www.cnn.com/2[...]
CNN
2003-12-14
[222]
뉴스
Saddam Hussein, Defiant Dictator Who Ruled Iraq With Violence and Fear, Dies
https://www.nytimes.[...]
2006-12-30
[223]
뉴스
Saddam underwear photo angers US
http://news.bbc.co.u[...]
BBC
2005-05-20
[224]
뉴스
Pentagon vows to probe Saddam photos
http://www.cnn.com/2[...]
CNN
2005-05-21
[225]
뉴스
Interrogator Shares Saddam's Confessions
https://www.cbsnews.[...]
CBS News
2008-01-27
[226]
뉴스
Tour of prison reveals the last days of Saddam Hussein
http://edition.cnn.c[...]
CNN
2008-03-27
[227]
웹사이트
Judging Dujail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6-11-19
[228]
뉴스
Saddam Formally Charged
http://news.softpedi[...]
Softpedia
2006-05-15
[229]
뉴스
Judge Closes Trial During Saddam Testimony
http://www.foxnews.c[...]
Fox News
2006-03-15
[230]
뉴스
Iraq court upholds Saddam death sentence
https://www.washingt[...]
2006-12-26
[231]
뉴스
Saddam Hussein executed in Iraq
http://news.bbc.co.u[...]
2006-12-30
[232]
뉴스
'I Want a Firing Squad'
http://news.sky.com/[...]
Sky News
2006-11-05
[233]
뉴스
Frame by frame: last moments of a tyrant
https://www.theguard[...]
2006-12-31
[234]
뉴스
Saddam Execution Images Shown on TV, Web
http://www.ibtimes.c[...]
2007-01-02
[235]
뉴스
Saddam Hussein's body was stabbed in the back, says guard
https://www.thetimes[...]
2008-11-01
[236]
웹사이트
Witness: Saddam Hussein argued with guards moments before death
http://edition.cnn.c[...]
CNN
[237]
웹사이트
How Saddam died on the gallows
http://www.theguardi[...]
2007-01-01
[238]
뉴스
Saddam's final words
http://www.news.com.[...]
2006-12-30
[239]
뉴스
New Video of Saddam's Corpse on Internet
https://www.washingt[...]
2007-01-09
[240]
뉴스
Tribal chief: Saddam buried in native village
https://www.nbcnews.[...]
2006-12-30
[241]
뉴스
Iraq conflict: Saddam's tomb destroyed in Tikrit fighting
https://www.bbc.com/[...]
BBC
2015-03-16
[242]
뉴스
Saddam's allies moved his corpse, fearful Shi'ite militias would harm it: tribal leader
https://www.reuters.[...]
2014-08-06
[243]
웹사이트
Marriages of Saddam Hussein
http://marriage.abou[...]
About.com
2004-01-01
[244]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245]
웹사이트
Hussein's wife, daughter on new 'wanted' list
http://www.cnn.com/2[...]
CNN
2006-07-02
[246]
웹사이트
Saddam's family on Iraq wanted list
http://euronews.net/[...]
2007-09-30
[247]
웹사이트
Iraq frees Saddam Hussein's son-in-law after 18 years in prison
https://www.aa.com.t[...]
2021-06-19
[248]
웹사이트
Treasury Designates 16 Family Members of the Former Iraqi Regime, Submits 191 Iraqi Entities to United Nations
https://home.treasur[...]
2024-07-19
[249]
웹사이트
Ali Saddam Hussein Al-Tikriti
https://www.opensanc[...]
1980-01-01
[250]
웹사이트
ALI SADDAM HUSSEIN AL-TIKRITI | Security Council
https://main.un.org/[...]
[251]
웹사이트
Sanctions List Search
https://sanctionssea[...]
[252]
웹사이트
رغد صدام حسين ترد على حقيقة وجود أخ غير معلن عنه لها
https://arabic.cnn.c[...]
2021-02-20
[253]
뉴스
Saddam's billions
http://cdn.deseretne[...]
2007-01-02
[254]
뉴스
Saddam's daughters express love for dad
https://www.usatoday[...]
2003-08-01
[255]
뉴스
Guess Who Got The Key To Detroit?
https://www.cbsnews.[...]
CBS News
2003-03-26
[256]
웹사이트
Iraq Rewards Hussein With Medal for 'Historic Role, Noble Services'
https://www.latimes.[...]
1991-04-30
[257]
웹사이트
Saddam showers southern fighters with medals
https://zeenews.indi[...]
2003-04-01
[258]
웹사이트
Saddam Hussein Given Keys to Detroit, 1980
https://historyandth[...]
2021-10-09
[259]
웹사이트
Saddam Hussein's Key to the City of Detroit
https://www.bidoun.o[...]
[260]
웹사이트
11 Crazy Facts About Saddam Hussein
https://www.military[...]
2022-07-12
[261]
웹사이트
12 unusual facts about Saddam Hussein
https://www.history.[...]
[262]
웹사이트
Iraq: The Rise And Fall Of Saddam Hussein, Iraq's 'Great Uncle'
https://www.rferl.or[...]
2008-04-09
[263]
웹사이트
Saddam Hussein's medals displayed in South Africa
https://www.jpost.co[...]
2007-01-22
[264]
웹사이트
Saddam medals on show in SA
https://www.news24.c[...]
[265]
웹사이트
Saddam medals on display in Jo'burg
https://mg.co.za/art[...]
2007-01-16
[266]
웹사이트
afrol News – South African museum displays Saddam's medals
http://www.afrol.com[...]
[267]
서적
Saddam's Word: Political discourse in Iraq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8]
서적
The other Iraq: pluralism and culture in Hashemite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269]
웹사이트
Remnants of Babylonian Jewry Endure Tyranny of the Majority
https://forward.com/[...]
2004-05-14
[270]
웹사이트
Conflicted S3 E17: Saddam vs. Ayatollah
https://messageheard[...]
2022-09-07
[271]
서적
Blood and Soil: A World History of Genocide and Extermination from Sparta to Darfur
Yale University Press
[272]
웹사이트
Inside the Abandoned Babylon That Saddam Hussein Built
http://www.atlasobsc[...]
2019-12-02
[273]
서적
Political Islam Revolution, Radicalism, or Reform
Lynne Rienner Publishers
[274]
뉴스
No surprise in Iraqi vote
https://www.nytimes.[...]
1995-10-17
[275]
뉴스
Iraq – July 22 – Saddam Plans Referendum
http://findarticles.[...]
[276]
뉴스
Saddam 'wins 100% of vote'
http://news.bbc.co.u[...]
BBC
2002-10-16
[277]
웹사이트
Toppled Saddam
http://www.toppledsa[...]
toppledsaddam.org
[278]
뉴스
The toppling of Saddam's statue: how the US military made a myth
https://www.theguard[...]
2021-07-08
[279]
웹사이트
The US-led war in Iraq and Saddam's Arab legacy
https://www.aljazeer[...]
[280]
서적
State of Repression: Iraq under Saddam Hussein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1]
서적
Cruelty and Silence: War, Tyranny, Uprising, and the Arab World
W. W. Norton & Company
1993
[281]
서적
Saddam's Word: The Political Discourse in Iraq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81]
학술지
New Sources for the Study of Iraqi Intelligence during the Saddam Era
https://www.tandfonl[...]
2022-03-11
[281]
서적
The Ba'thification of Iraq: Saddam Hussein's Totalitarianism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5-11-15
[282]
웹사이트
The Complex Legacy of Saddam Hussein
https://www.iwm.org.[...]
2024-03-16
[283]
웹사이트
State of Repression: Iraq under Saddam Hussein
https://politicalsci[...]
2024-03-16
[284]
웹사이트
The long shadow of Saddam's dictatorship in Iraq
https://www.aljazeer[...]
2024-03-16
[285]
뉴스
State of Repression: Iraq Under Saddam Hussein
https://www.foreigna[...]
2024-03-16
[286]
웹사이트
The Gulf War
https://millercenter[...]
2020-05-11
[287]
학술지
The wars of Saddam Hussein
http://dx.doi.org/10[...]
1992-10-01
[288]
웹사이트
Corruption is the forgotten legacy of the Iraq invasion
https://www.brooking[...]
2024-03-16
[289]
웹사이트
Why sanctions fell short of their objectives in the First Gulf War
https://blogs.lse.ac[...]
2023-01-05
[290]
서적
Overreach: Delusions of Regime Change in Iraq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91]
웹사이트
Saddam Hussein's Iraq
https://reliefweb.in[...]
1999-09-13
[292]
웹사이트
Iraq – Dictatorship, Invasion, Sanctions
https://www.britanni[...]
2024-03-16
[293]
웹사이트
The US-led war in Iraq and Saddam's Arab legacy
https://www.aljazeer[...]
2024-03-16
[294]
뉴스
Iraqis Must Learn to Read and Write – Or Else!
https://www.washingt[...]
2024-03-16
[295]
뉴스
A new history of Iraq
https://www.theguard[...]
2024-03-16
[296]
웹사이트
From 0% to 20% illiteracy — an Iraqi feat
https://www.arabnews[...]
2010-09-17
[297]
웹사이트
Empty classrooms and black market textbooks
https://reliefweb.in[...]
2016-12-22
[298]
웹사이트
The Iraq Report: Baghdad struggles to rise again
https://www.newarab.[...]
2022-04-13
[299]
웹사이트
IRAQ: Was Life for Iraqi Women Better Under Saddam?
https://www.peacewom[...]
2015-02-03
[300]
웹사이트
Casualties of War: Iraqi Women's Rights and Reality Then and Now
https://www.opensoci[...]
2024-03-16
[301]
웹사이트
Women were more respected under Saddam, say women's groups
https://www.thenewhu[...]
2006-04-13
[302]
웹사이트
Baghdad Jews: Exodus or extinction?
https://www.aljazeer[...]
2024-03-16
[303]
웹사이트
These Iraqi Gnostics Hold Water Sacred. Jordanian Authorities Won’t Let Them Near a River.
https://indypendent.[...]
2024-05-01
[304]
웹사이트
The Plight of Iraq's Mandeans
https://www.mandaean[...]
2024-05-01
[305]
웹사이트
Saddam pledges to construct temples for the Mandaean peoples
https://web.archive.[...]
2024-05-01
[306]
웹사이트
The Legacy Of Saddam's Islam
https://www.hoover.o[...]
2024-03-24
[307]
웹사이트
Why was Saddam Hussein so popular among Palestinians?
https://www.dailyo.i[...]
2024-03-16
[308]
웹사이트
Palestinian activists build monument to Saddam Hussein
https://apnews.com/g[...]
2017-10-23
[309]
뉴스
Palestinian Activists Build Monument to Saddam Hussein
https://www.bloomber[...]
2024-03-16
[310]
웹사이트
Palestinians Erect Memorial To Saddam Hussein In Qalqilya, Bearing Slogan 'Arab Palestine From River To Sea'
https://www.memri.or[...]
2024-03-16
[311]
웹사이트
PA city erects Saddam Hussein memorial
https://www.israelna[...]
2024-04-01
[312]
웹사이트
Palestinian Saddam statue is a 'poke in America's eye,' diplomats and leaders say
https://www.jns.org/[...]
2024-04-01
[313]
웹사이트
Reminiscing Saddam Hussein and India-Iraq Ties
https://www.thepamph[...]
2024-03-16
[314]
웹사이트
Latest Releases
https://archive.pib.[...]
2024-03-16
[315]
웹사이트
Forty Years Ago, October 5, 1980: PM's Letters
https://indianexpres[...]
2020-10-05
[316]
뉴스
Trump praises Saddam Hussein's efficient killing of 'terrorists,' calls today's Iraq 'Harvard for terrorism'
https://amp.cnn.com/[...]
2016-07-06
[317]
웹사이트
Iraq's Saddam still revered in Jordan 20 years later
https://www.france24[...]
2024-03-16
[318]
웹사이트
Kurdish model arrested for allegedly praising Saddam Hussein
https://www.newarab.[...]
2024-03-05
[319]
뉴스
Gaddafi’s ‘spiritual son’: the general blamed over flood catastrophe
https://www.thetimes[...]
2023-09-16
[320]
뉴스
Khalifa Haftar will use Libya's floods to deepen his control
https://www.economis[...]
2023-09-21
[321]
뉴스
Libya floods: Elseddik and Saddam Haftar, the brothers vying for power after disaster
https://www.middleea[...]
2023-09-19
[322]
웹사이트
Barry Keoghan to Star in Film From 'Chernobyl' Director Johan Renck About Saddam Hussein's Final Days (Exclusive)
https://www.hollywoo[...]
2024-03-16
[323]
웹사이트
المعاني - معاني الأسماء : صدام
https://www.almaany.[...]
2023-05-10
[324]
서적
The other Iraq: pluralism and culture in Hashemite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
[325]
서적
Syria and Israel : From War to Peacemak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26]
서적
Iraq: A Political History from Independence to Occup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327]
서적
The Kiss of Saddam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2009
[328]
뉴스
足場固めるフセイン体制 反対派一掃をねらう
朝日新聞
1979-07-31
[329]
서적
イラクとアメリカ
[330]
간행물
Iraq: New Power in the Middle East
Foreign Affairs
1979-1980
[331]
서적
Kurdish Politics in the Middle East
Lexington Books
2010
[332]
문서
特にフランスは、1981年の戦争開始後も1984年までに約50億ドルに相当する武器をイラクに供給し、1982年から1983年、フランスの武器輸出の40%はイラクがしめていた。
[333]
웹사이트
SIPRI Database
http://armstrade.sip[...]
[334]
웹사이트
DPRK Diplomatic Relations
http://www.ncnk.org/[...]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2017-07-25
[335]
웹사이트
イラン・イラク戦争における北朝鮮のイラン派兵
http://www.erina.or.[...]
環日本経済研究所
2017-07-25
[336]
서적
イラクとアメリカ
[337]
웹사이트
Iraq's Army Was Once World's 4th-Largest
https://www.ourmidla[...]
[338]
서적
イラクとアメリカ
[339]
서적
イラクとアメリカ
[340]
서적
[341]
서적
サダムその秘められた人生
[342]
서적
イラクとアメリカ
[343]
서적
[344]
서적
[345]
뉴스
フセイン元大統領、「ビンラーディンは狂信者」と供述
読売新聞
2008-01-28
[346]
웹사이트
中曽根氏、交渉術尽くしフセイン説得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01-14
[347]
문서
イラクを支持したのは、国内にパレスチナ人を抱えるヨルダンやイエメン、パレスチナ解放機構など数カ国に留まった。
[348]
웹사이트
サウジがフセイン大統領に国外亡命を正式提案
http://www.asahi.com[...]
2003-03-20
[349]
웹사이트
Sunnis recall Saddam's parting words before he fled Baghdad
http://www.iraqupdat[...]
2024-10-25
[350]
웹사이트
http://www.47news.jp[...]
[351]
비디오
ZERO HOUR:サダム・フセイン拘束
ディスカバリーチャンネル
[352]
뉴스
2004년 12월 31일자 기사
読売新聞
2004-12-31
[353]
뉴스
2004년 7월 26일 배포 기사
共同通信
2004-07-26
[354]
웹사이트
アラブ紙、フセイン元イラク大統領の手記を掲載
https://www.afpbb.co[...]
2008-05-07
[355]
웹사이트
愛を語り別れに涙、FBI担当官が語るフセイン元大統領の人間性
https://www.afpbb.co[...]
2007-11-15
[356]
웹사이트
http://www.yomiuri.c[...]
2010-12 (link broken)
[357]
웹사이트
http://www.news24.jp[...]
2024-06 (link broken)
[358]
뉴스
Saddam was model prisoner, says nurs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1-02
[359]
웹사이트
http://www.inform.co[...]
2024-06 (link broken)
[360]
웹사이트
イラク:フセイン元大統領、最後まで現実離れ 捜査官証言
http://mainichi.jp/s[...]
2010-08-30
[361]
뉴스
2006년 12월 27일자 국제면 기사
読売新聞
2006-12-27
[362]
웹사이트
イラク当局、故フセイン大統領の墓参りを禁止
http://www.el.tufs.a[...]
2009-07-07
[363]
웹사이트
フセイン元大統領の墓地、破壊される イラク
https://www.cnn.co.j[...]
CNN
2015-03-15
[364]
웹사이트
イラク:フセイン元大統領の豪華な船がホテルに
https://mainichi.jp/[...]
2018-06-01
[365]
웹사이트
Saddam Hussein: Stalin on the Tigris
http://www.fpri.org/[...]
2007-02 (link broken)
[366]
서적
1982
[367]
웹사이트
特集 フセイン元大統領の死刑執行
http://www.nikkei.co[...]
2003-03-23
[368]
웹사이트
フセイン側近裁判、元議員が拷問について証言
https://www.afpbb.co[...]
2007-08-23
[369]
웹사이트
バグダッドで「サダム・フセイン時代の恐怖」展、拷問道具や遺品を展示
https://www.afpbb.co[...]
2008-03-27
[370]
웹사이트
Saddam's name struck off Prophet's lineage
https://www.aljazeer[...]
BBC
2003-12-03
[371]
뉴스
Saddam removed from ancient Babylon 'brick by brick'
ABC News
2003-04-20
[372]
서적
The Rape of Mesopotamia: Behind the Looting of the Iraq Museu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8-01
[373]
서적
The Economy of Iraq: Oil, Wars, Destruction of development and Prospects, 1950–2010
ABC-CLIO
[374]
서적
1994
[375]
문서
사담 후세인의 주치의 알라 바시르 의사 회고록 및 인터뷰 내용
[376]
문서
당시 미국 도널드 럼즈펠드 지원에 의한 것, 이라크 전쟁 과정에서 밝혀짐
[377]
서적
お金の流れでわかる世界史 富、経済、権力……はこう「動いた」 こんな見方があった!
KADOKAWA
[378]
문서
앞에서 말한 그것
[379]
뉴스
[이라크] 후세인, 100%지지 재선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2-10-16
[380]
웹인용
우리세대를 떠난 ‘인물’들 (14)독재자 사담 후세인 (Saddam Hussein), 1937-2006
http://www.hani.co.k[...]
2007-01-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권영세 “이재명 88% 득표, 독재국가 선거”…13년 전 박근혜도 84% 전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